[단독]KBS 작년 적자 759억···비상경영에도 직원 되레 늘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비상경영을 선언했던 KBS가 지난해 역대 최악의 사업실적을 거뒀지만 줄이겠다고 했던 직원 수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영 악화의 원인으로 지적돼 온 상위직급 직원의 비율도 여전히 절반 이상을 유지했다.

김영식 미래통합당 의원이 28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KBS는 지난해 사업부문에서 총 75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비상경영체제로 전환할 만큼 상황이 안 좋았던 2018년(585억원 적자)보다 손실이 더 컸다. 다만 2018년 264억원이었던 사업부문 이외 수익이 784억원으로 늘며 전체 당기순이익은 16억원을 기록했다.

김영식 미래통합당 의원이 지난달 20일 국회에서 열린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질의하고 있다. [뉴스1]

김영식 미래통합당 의원이 지난달 20일 국회에서 열린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질의하고 있다. [뉴스1]

김 의원실 관계자는 “보유한 자산 등을 처분하면서 비사업 수익을 끌어올린 덕에 간신히 적자를 면했을 뿐, 사업부문에서 큰 손실을 내 경영 상황은 2018년보다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직원 수는 2018년 말 4536명에서 지난해 말 4726명으로 늘어났다. 전체 비용 중 인건비 비중도 34.7%에서 36.3%로 증가했다. 지난해 KBS는 인건비로 5286억원을 썼다.

경영악화 원인으로 꼽혀온 상위 직급 과다 문제도 해소되지 않았다. 전체 인력 중 2급 이상의 상위 직급이 56.6%로 절반 이상이었다. 이들 대부분은 억대 연봉자다. 2018년 기준 KBS 전체 직원의 51.9%가 연봉 1억원 이상이었다.

지난해 12월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는 양승동 KBS 사장. [KBS 제공]

지난해 12월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는 양승동 KBS 사장. [KBS 제공]

감사원은 앞서 2017년 기관운영 감사보고서를 통해 “상위직급이 과다한 인력구조를 개선하지 않아 경영에 부담을 주는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고 KBS에 지시했다. 방송통신위원회도 2018년 감사원 지적 사항을 이행할 것을 재허가 조건으로 내걸었지만, 개선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2018년 말 시정 명령을 내렸지만, KBS가 이를 이행하지 않으며 지난해 8월 2차 시정 명령도 내렸다. 김 의원은 “이런 와중에도 KBS와 방통위는 수신료 인상을 주장하며 KBS의 경영 실패 부담을 국민에게 전가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KBS 측은 "지적받은 상위직급 과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올해 초부터 노사 합의를 거쳐 상위직 양산을 방지할 수 있는 직급개편안을 새로 마련해 시행 중"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인력 증가에 대해서는 "원래 무기계약직으로 일하던 '비일반직' 인원 223명이 지난해 일반직으로 전환했기 때문에 직원 수가 늘어난 것"이라며 "이 수치를 빼면 직원 수는 33명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윤정민 기자 yunj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