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배 AI와 함께하는 바둑 해설] AI도 때론 격렬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7면

〈결승 3국〉 ○·탕웨이싱 9단 ●·양딩신 9단

장면 3

장면 3

장면 ③=어디가 더 중요하고 어디가 더 큰가. 수치상의 크기뿐 아니라 전국의 지배력을 좌우하는 포인트를 찾아가는 것. 이게 바둑두기다. 그러나 스스로 묻고 또 물어도 답을 찾기는 어렵다.

백1에 박영훈 9단은 “집도 크고 살아두는 수”라고 한다. AI는 A 자리가 더 좋다고 하지만 점수 차이는 미미하다. 흑2 다음 백은 당연히 우변에 눈을 돌리게 되는데 AI는 이 근방 7-8 곳을 다 비슷하게 본다. 인간은 대부분 3을 선택한다. 흑이 4로 육박하고 6으로 날아간 다음 AI가 묘한 수를 들고나온다. 곧장 우하를 침투하는 수인데 그곳은 어디일까.

AI의 안목

AI의 안목

◆AI의 안목=박영훈 9단은 AI가 추천하는 백1을 보며 “좋다”고 미소를 짓는다. 흑2로 받으면 3의 달리기. 4의 포위엔 5의 붙임. 약한 돌을 곁에 두고 격렬하게 파고드는 수법인데 가만 보면 이미 타개가 된 모습이다.

실전진행

실전진행

◆실전진행=탕웨이싱의 다음 수는 백1의 한 칸. 약한 돌을 수습하는 모범적인 행마다. 2로 받을 때 3,5로 상변을 개척한다. 하나 AI의 격렬한 수법을 보고나니 문득 백1이 무력해 보인다.

박치문 바둑 칼럼니스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