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부산 화장장 성공사례]

중앙일보

입력

1991년 개장한 일본 요코하마 남부 화장장은 서울 제2화장장의 유력한 후보지인 서초구 내곡동과 입지나 주민 반대 이유가 닮은 꼴이다.

고속도로 진입로변에 위치한 이 화장장은 주택가와의 거리가 자동차로 5분도 안되지만 숲에 파묻혀 있어 외부에서는 화장장이 있는지조차 알 수 없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교통체증.오염물질 배출 등을 이유로 주민들의 반대가 거셌다.

요코하마시는 오염물질 배출 기준치를 일반 기준치보다 강화한다는 조건을 걸고 주민들을 설득했다. 이 작업은 84년부터 무려 5년이 걸렸다. 스기야마 겐 소장은 "지금도 매년 세차례 주민 설명회를 갖는다" 고 말했다.

92년 설립된 나리타시의 야스토미(八富成田)화장장은 경제적 인센티브로 주민 동의를 이끌어낸 곳이다. 지역 주민들이 시로부터 매년 8천만엔(약 8억원)의 위탁운영료를 받고 직접 운영, 수익금을 배분한다.

국내에서도 부산과 울산이 인센티브로 주민반대를 해결했다. 95년 3월 금정구 선두구동에 장례.화장.납골 등의 '원스톱 서비스' 가 가능한 영락공원을 개장한 부산시는 도서관 등 주민숙원 사업 47가지를 해결하는 조건으로 동의를 이끌어냈다.

울산시도 1만9천평 규모의 화장.납골당을 만든다는 계획 아래 지역개발기금 1백20억원을 내걸고 부지 공모에 나선 상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