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7개 계열사 인사팀장 국회 총출동…"노조방해 주장 오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삼성의 7개 계열사 인사팀장이 최근 국회를 찾아 사내 노조 활동을 보장하겠다는 뜻을 재차 강조했다. 지난 8일 한국노총 삼성그룹노조연대가 "이재용 부회장의 무노조 경영 폐기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한 해명 차원이었다. 삼성 계열사 가운데 최초로 노사 양측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을 진행 중인 삼성디스플레이에선 교섭이 일시 중단됐다.

"실질적 노사 관계 변화 꾀한다" 재차 강조 

12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한 계열사 7곳의 인사팀장이 지난 10일 국회를 방문해 "'회사가 노조 활동을 방해한다'는 주장은 오해"라고 설명했다. 이번 방문에는 삼성전자뿐 아니라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화재 등 7개 계열사 인사팀장(부사장·전무급)이 참석했다. 이들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간사인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을 찾았다.

국회 환노위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간사가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국노총 삼성그룹 노동조합 연대와 함께 개최한 '삼성노동자 현장 사례발표회' 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국회 환노위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간사가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국노총 삼성그룹 노동조합 연대와 함께 개최한 '삼성노동자 현장 사례발표회' 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삼성 인사팀장들은 "노조 전임자 인정, 사무실 제공 등의 문제는 현재 단체협상(단협) 논의 사항으로 적극 수용할 의사가 있다"며 "실질적 노사 관계 변화를 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기존 '노사협의회'에 대해선 "1980년대부터 대의기구로 활동해온 협의회를 부정적으로 매도한 점은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한마음협의회, 한가족협의회 등으로 이름 붙여진 노사협의회는 과거 삼성이 무노조 원칙을 고수할 당시 벨기에·네덜란드에서 받아들인 제도다. 1980년 삼성전자에서 처음 도입했으며, 교섭권은 있으나 노조와 달리 단결권과 단체행동권은 없다. 삼성은 예전부터 노사협의회와의 협의를 바탕으로 임금인상률, 사내 복지 등을 정해왔다. 삼성 소속 노조는 "회사가 여전히 노사협의회를 앞세워 노조를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다.

노조 대표성 놓고선 노사 아직 입장 차 뚜렷

삼성은 새로운 노사 관계를 정립하는데도 곳곳에서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선 지난 7일 이동훈 사장이 노조위원장을 직접 면담했지만, 이틀 뒤 노조가 임단협 교섭을 중단했다. 삼성의 최고경영자(CEO)가 노조위원장을 만난 건 전례 없는 일이다.

김종근 삼성디스플레이 상무가 지난달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삼성디스플레이 2차 단체교섭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김종근 삼성디스플레이 상무가 지난달 서울 영등포구 한국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삼성디스플레이 2차 단체교섭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삼성디스플레이 노조는 현재 "회사가 단협 조항 검토를 미루는 등 협상에 성의를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이동훈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은 "노사협의회는 오래전부터 직원들이 선출한 대의기구 역할을 해 왔고, 노조는 이제 막 출범한 만큼 서로 시간을 가지고 룰을 만들어가자"는 입장이다. 삼성디스플레이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에 근로조건 합의에 관한 조정신청을 할 계획이다.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