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중 8곳 “코로나19로 피해”…3곳은 “추가 지원 필요”

중앙일보

입력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영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중소기업에 미친 영향.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코로나19가 중소기업에 미친 영향.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는 28일 지난 5월 27일부터 지난 달 9일에 걸쳐 300인 미만 중소기업 1000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영향을 설문조사한 결과, 이중 82.0%가 코로나19로 인해 경영상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산업별로는 특히 서비스업의 피해가 극심했다. 교육‧기타 개인서비스업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100%에 달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도 98.5%가 코로나19로 경영상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사업규모가 작을수록 피해를 호소한 기업의 비율이 높았다. 매출액 10억원 미만의 사업장 가운데 91.1%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었다고 응답한 반면, 50억~100억원 미만 매출액 사업장 가운데선 76.5%가, 100억~300억원 미만 매출액 사업장 가운데선 72.0%가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소비활동이 줄어들면서 매출이 감소한 게 가장 큰 피해를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 중 87.4%가 ‘경기침체, 소비감소로 인한 매출감소’로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방역, 소독으로 인한 비용증가(21.5%)’, ‘코로나19로 인한 휴무로 생산차질(14.6%)’ 등도 중소기업에 피해를 끼쳤다.

정부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실시한 긴급경영안정자금(저금리 신용대출) 수혜기업은 10곳 중 1곳이 채 안 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 3월부터 소상공인진흥공단을 통해 받을 수 있는 1.5% 저금리 대출인 경영안정자금은 신청자 수에 비해 심사기간이 길고 지급조건이 엄격해 논란이 됐다.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통해 지원을 받았다고 응답한 기업은 9.6%에 그쳤다. 해당자금은 대부분 인건비(82.3%)에 쓰였고, 이외에도 임대료 지출(25.0%), 원자재 구매(16.7%) 등에 쓰였다.

정부 긴급경영안정자금 수혜기업 비중.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정부 긴급경영안정자금 수혜기업 비중.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는 등 국내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중소기업 10곳 중 3곳은 “(정부의)추가 자금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이들 기업 가운데 32.8%가 코로나19 이전으로 경영상황이 회복되려면 1년 이상이 걸릴 것(내년 3분기 이후에나 회복)으로 예상했다. 23.6%는 올해 4분기부터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고, 23.3%는 내년 1분기에 경영상황이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성지원 기자 sung.ji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