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불량 (위장질환)에 좋은 단학수련

중앙일보

입력

매운 것과 곡류를 많이 먹는 한국인들에게는 위하수, 위산과다로 인한 소화불량이 많다. 우리 음식은 맵고 짜고 양념이 강한 편으로, 강한 양념 맛에 위장은 늘 자극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불규칙한 식습관도 위장병을 불러온다. 끼니를 거르면 위장이 텅 비어 유착되기 쉽고 과식하면 위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매일 일정한 시간에 적당량을 섭취하여 위장이 비거나 과로하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스트레스는 위장의 천적이다. 스트레스에 좋은 영향을 받는 장기는 없지만, 위장은 사람의 감정상태를 가장 민감하게 반영하는 장기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평상시 위장은 부식성이 강한 염산 성분인 위액을 하루 약 3리터나 분비한다. 그런데 흥분을 하게 되면 위액을 보통 때의 3배나 많이 분비 시켜 위벽을 손상시킨다. 반면 의기소침하면 소화동작과 위액분비를 멈춰버린다.

소화불량을 겪는 많은 사람들은 각종 진단적 검사를 해봐도 신경성이라는 것 외에 그 원인을 시원하게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신경성 소화불량은 특히 IMF 시대 이후 더욱 두드러지게 많아진 증상으로 그 원인은 스트레스에 있다.

소화불량에서 벗어나려면 항상 즐거운 마음을 가지고 스트레스를 피하며 위와 관련된 경락(經絡) - 족양명위경 - 에 기운이 원활히 유통될 수 있는 체조를 꾸준히 해준다.

<동작 1> 장(腸)운동

  • 동작
    두 손을 단전 위에 올려 놓는다. 숨을 들이마시면서 배에 약간의 힘을 주어 내밀고 숨을 내쉬면서 배를 항문과 닿게 한다는 느낌으로 당겨 준다. 100회 정도 한 후, 아랫배를 골고루 쓸어준다. 이를 수 회 반복한다. (위를 비롯한 내장기관 전체를 운동시켜 주는 동작)

    * 효과: 내장 전체를 마사지해 주어 기능을 강화시키며, 단전에 기를 충만하게 한다.


    <동작 2> 족삼리(足三里)혈 자극하기

  • 동작
    주먹을 가볍게 쥐고 족삼리혈을 두드려준다.

    * 효과: 족삼리혈은 위와 연결된 경락에 있는 중요 혈자리로 이곳을 자극하면 위 부위에 기의 순환이 원활해진다.

    <동작 3>굴렁쇠

  • 동작
    1. 척추를 둥그렇게 하여 양손은 깍지끼고 다리를 감싼다.
    2. 척추가 바닥에 닿아 자극이 될 수 있도록 굴러 준다. 30회 정도 한다.

    * 효과: 척추선을 부드럽게 자극해 척수 신경과 내장기능을 강화시킨다.

    주의: 다리를 구르는 힘으로 일어서되 머리를 밀면서 일어나면 경추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바닥에 요철이 없고 약간 푹신한 바닥에서 해준다.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