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지난주 해외유입 확진 90명···직전 한주보다 2배 늘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재난상황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재난상황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세가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는 가운데 최근 해외유입 사례도 2배 가까이 늘었다며 우려를 표했다.

박능후 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회의에 참석해 지난 15일부터 21일까지 1주간 집계된 해외유입 확진자 수는 총 90명으로 이전 1주일(8∼14일)의 48명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밝히면서 "해외 입국자 이동과정 중 감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어 방역당국은 코로나19의 지역감염과 해외유입을 동시에 관리해야 하는 위기 상황에 있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해외유입 사례가 지역감염으로 전파된 경우는 없지만 최근 해외유입 감염이 증가하면서 방역당국은 긴장하고 있다. 현재 모든 입국자에 대해 입국 뒤 3일 안에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고 2주간 의무적으로 자가격리를 하도록 조치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해외입국자에 대한 방역을 강화하기 위해 오는 23일부터 입국자 대비 확진자가 많은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에 대해 신규비자 발급을 제한한다. 정기적이지 않은 항공편 운항도 일시적으로 중지하기로 했다.

박 1차장은 지역감염과 관련해선 "대전지역 방문판매업체에서 발생한 감염이 주변 충남, 세종, 전북, 광주 등 다른 시·도로 번져나가고 있어 전국 어디도 안전하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각 지자체의 선제적 대응을 주문했다.

방역당국은 지난 21일 집단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방문판매업체와 물류센터, 대형학원, 뷔페식당 등 4곳을 '고위험시설'로 추가 지정했다. 이들 4개 시설은 23일 오후 6시부터 마스크 착용 등의 '강화된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QR코드 기반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도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