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한반도 권력서열은 옥류관 주방장 다음이 文대통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임현동 기자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 임현동 기자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멈추지 않았다. 최근 여권 인사들의 거듭된 비난에도 진 전 교수는 설전을 이어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을 지적하면서 시작된 진 전 교수의 청와대·여권 비판이 북한의 대남 강경 메시지 문제로까지 확장했다.

진 전 교수는 14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쥐박이' '땅박이' '2메가' '귀태' '그년' 저 표현들 좀 보라"며 "'왼쪽의 민경욱'은 죄다 민주당에 모여있다. 실없는 소리 그만하시라"고 일갈했다.

이는 앞서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이 진 전 교수를 언급하며 '왼쪽의 민경욱'이라고 비난한 것에 대한 반박이다. 신 의원은 진 전 교수가 연일 청와대와 여권에 비판적 견해를 내놓자 진 전 교수를 민 의원에 빗대는 표현을 썼는데, 이에 진 전 교수는 과거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을 비하한 표현을 나열하며 신 의원에 반박한 것이다.

진 전 교수는 "옥류관 주방장, 문재인 대통령, 신동근 의원, 진중권 백성, 위에서 아래로 한반도 권력서열이 되는 건가”라며 "(옥류관 주방장이) 입에 담을 수 없는 폭언으로 대한민국의 국가원수를 모독했는데 대한민국 국회의원으로서 한마디도 못 하느냐"고 신 의원과 여권 인사들을 거듭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해당 게시물을 올리고 연이어 쓴 또 다른 게시물을 통해서도 여권 의원들을 비판했다. 북한의 도발에 의원들이 입을 열어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진 전 교수는 "외교부나 통일부에서는 굳이 북한의 유치한 대응에 같은 수준으로 대응할 필요 없다"며 "군사적 대응까지 운운하는 판에 굳이 불필요한 말을 보태 긴장을 고조시킬 필요는 없다"고 진단했다. 정부 당국이 북한의 험악한 발언에 하나하나 대응할 필요는 없고, 국민도 이를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다만 의원들은 경우가 다르다"고 했다. 진 전 교수는 "(의원들 중) 누군가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우리 국민이 느끼는 불쾌감을 대변해 줘야 한다"며 "그 역할을 의원들이 해 줘야 하고, 특히 여당 의원이 해주면 더 좋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어떻게 대통령 모독했다고 발끈했던 이들 중 나서는 이가 아무도 없다"고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대북전단이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고, 군사적 위협에 내부 군중 집회까지 조직하는 것을 보면, 북한의 상황이 좀 심각한 모양"이라며 "김정은이 내부에서 위협을 느끼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북한의 연이은 강경 메시지에 대해 "아마도 내부의 불만을 외부로 돌리려 하는 것이겠죠. 긴장을 고조시켜 내부를 결속하는 수법"이라고 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