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내주초 암진료 정상화

중앙일보

입력

전임의(펠로) 협의회는 13일 저녁 회의에서 서울대.신촌세브란스 등 서울 소재 5개 대학병원과 경북대 등 지방 거점병원에 밀려 있는 암환자 진료를 정상화하기로 했다.

의사협회 비상공동대책 10인 소위원회도 이날 밤 회의에서 암환자 진료를 확대하기로 결정해 다음주 초부터 암환자들에 대한 진료가 거의 정상화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보건복지부는 약국의 대체조제를 전면 금지하거나 대체조제 금지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 약사법 재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계와 정부가 한발씩 물러남으로써 대화의 실마리를 풀어나갈 가능성이 커졌다.

◇ 암환자 진료=전임의 협의회 장혁재 대변인은 "추석 연휴 동안 암환자 실태를 파악한 결과를 토대로 병원별로 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고 밝혔다.

이 경우 1천5백여명의 전임의 중 절반 가량인 7백~8백여명이 진료에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14일 회의를 열어 15일부터 시작하기로 한 진료 전면철수방침에 대해 논의한다. 협의회 관계자는 "가운을 벗고 자원봉사 형식으로 진료할 가능성이 크다" 고 말해 완전 의료공백 사태까지는 치닫지 않을 전망이다.

◇ 약사법 재개정 추진=복지부는 13일 최선정(崔善政) 장관 주재로 의료계 파업 대책회의를 열어 "상용약 목록 범위 안에서만 대체조제가 금지돼 있는 현행 약사법을 다시 개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는 그러나 약사법 재개정시 약계의 반발을 고려, 약사 1인당 조제건수를 제한함으로써 병.의원 앞의 약국으로 몰리는 환자를 동네약국으로 분산해 동네약국을 살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복지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완전 의약분업 실현을 위한 대책´ 을 마련해 15일 발표할 예정이다.

신성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