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소식품

중앙일보

입력

- 효소는 음식물을 분해하는 소화작용, 영양소가 인체를 구성하기 위한 합성작용, 세포를 재 생시키는 신진대사 작용을 촉진하는 물질로서, 원래는 체내에서 생산되나 오늘날 도시인들 은 각종 환경오염이나 가공식품의 범람으로 인하여 효소생성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 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효소식품을 섭취하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

- 효소식품은 일반적으로 식용가능하며 영양학적으로 유용하다고 인정된 완전곡류 등에 유 용미생물을 접종 시켜 일정시간 발효시켜 만든다. 원료자체가 갖고 있는 효소와 미생물분비 에 의하여 생성된 Amylase, Protease 등의 소화효소가 활성화되고,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식품의 영양성분이 인체 내에서 소화되기 쉬운 상태로 변화되므로 소화흡수율이 높아진다.

- 효소식품에는 현미효소, 율무효소 및 야채를 원료로 하는 효소식품들이 있다.

▣ 식품공전상의 기준

정의: 효소식품이라함은 식용미생물을 배양시킨 것 또는 이를 주원료로 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페이스트상, 분말, 과립, 정제, 캅셀 등으로 가공한 것을 말한다.

▣ 용어의 정의

  • 곡류효소식품: 곡류를 주원료로 하여 가공한 것을 말한다.

  • 배아효소식품: 곡물의 배아를 주원료로 하여 가공한 것을 말한다.

  • 과채류효소식품: 과채류를 주원료로 하여 가공한 것을 말한다.

  • 기타 효소식품: 곡류, 곡류배아 및 과채류 이외의 식품을 주원료로 하여 가공한 것을 말한 다.

    ▣ 성분배합기준

  • 곡류효소식품: 곡류 60%이상

  • 배아효소식품: 곡류의 배아 40%이상

  • 과채류효소식품: 과채류 60%이상

  • 기타 효소식품: 식물성 원료 60%이상

    ▣ 표시기준

  • 식품의 유형에 따라 곡류효소식품, 배아효소식품, 과채류효소식품, 기타 효소식품으로 구분 표시하여야 한다.

  • 기타 효소식품은 식품의 유형 다음 괄호 안에 사용한 원료 명을 표시하여야 한다.

  • 각각의 효소식품 앞에 주원료 명을 표시할 수 있다.

  • 권장섭취량 및 섭취방법을 표시하여야 한다.

    ▣ 효소식품의 원료

  • 효소의 원료가 될 정도로 영양분이 골고루 들어있는 식품으로는 현미가 가장 적당하고 그 이외 율무, 해조, 알로에 등이 이용되고 있다.

  • 현미효소는 배아부분에 Vitamin과 Mineral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고, 수십 종의 활성 효소군이 함유되어 있다.

    ▣ 생리활성 성분(현미효소)

  • 조단백질 25.4%

  • 조지방과 식물성지방 26.6%

  • Vitamin B1 2mg(100g 중)

  • Vitamin B2 0.6mg(100g 중)

  • Vitamin E 65.8mg(100g 중)

  • Nicotinic acid 46.7mg 외 기타 활성효소군

    ▣ 생리활성 작용

  • 조직과 세포를 활성화한다.

  • 인체의 모든 대사기능을 원활히 한다.

  • 각종 호르몬의 생성을 촉진한다.

    ▣ 적응증

  • 체질개선, 건강증진, 인체대사기능 촉진, 소화기능 강화 등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