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휴폐업사태 주초가 고비

중앙일보

입력

의료공백 사태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긴박해지고 있는 가운데 의료계도 단일 협상 창구를 마련, 이번주초가 사태 해결의 고비가 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한동(李漢東) 총리의 담화문 발표와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보건의료발전 특별위원회´ 가동을 계기로 의료계를 상대로한 막바지 대화 노력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정부는 이에 앞서 12일 이 총리의 담화문을 통해 의료계에 진료 복귀를 호소하고 ▲의학교육 향상 ▲의료이용체계 개선 ▲전공의 제도 개선 ▲보험수가 현실화 등 의료제도 전반의 개선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 가동에 들어갔다.

특히 특위를 실질적으로 이끌 부위원장에 김동집(金東集) 가톨릭 의대 명예교수를 임명하고 위원의 절반에 가까운 10명을 의료계 인사로 구성하는 등 이 기구가 의료계 중심으로 운영되도록 했다.

지도부 공백상태였던 의료계도 내부 입장을 조율하고 대외 협상을 담당할 대표 기구를 구성, 정부와의 대화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빠르면 14일부터 정부와 의료계의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또 의료계 내부에서는 8.15 남북 이산가족상봉 행사기간에는 휴.폐업을 유보하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사협회는 12일 의권쟁취투쟁위원회 산하에 상임이사,의쟁투 중앙위원,교수,전임의,전공의,개원의,병원의사,의대생 등 직능대표가 참여하는 `비상공동대표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13일 앞으로의 활동방향을 논의했다.

한편 경실련과 참여연대 등 1백여개 시민사회단체와 종교단체들은 `국민건강권 수호와 의료계 집단폐업철회를 위한 범국민대책회´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국민행동에 입,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압박하고 나섰다. (서울=연합뉴스) 이재웅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