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부 피싱하나” 헷갈리게 만든 재난지원금 신청화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국내 한 카드사의 재난지원금 기부 신청 화면.

국내 한 카드사의 재난지원금 기부 신청 화면.

‘기부금 없이 신청’ ‘기부 신청’.

“실수로 기부” 취소 요청 쏟아져 #정부 “당일 취소 못하면 추후 가능”

A카드사 긴급재난지원금 신청 화면에 나온 두 개의 버튼이다. 기부금 없이 신청 버튼은 흰색, 기부 신청 버튼은 파란색이었다.

긴급재난지원금 신용·체크카드 온라인 신청 둘째 날인 12일 화요일, 기자가 직접 신청해 봤다. 필수약관 아래쪽에 ‘다음 페이지에서 원하는 금액만큼 기부할 수 있다’는 문구가 있었다.

약관에 동의하고 신청 버튼을 누르자 다음 페이지에 지원금액 60만원이 나오고 기부금액을 적는 칸이 나왔다. 전체기부, +10만원, +1만원 버튼도 있었다. 그리고 아래쪽에 위에서 말한 두 개의 버튼이 나왔다. 왜 기부 신청 버튼만 파란색으로 눈에 띄게 표시돼 있는지, 왜 ‘지원금 신청’이 아닌 ‘기부 신청’이라는 문구가 나왔는지 의문이 들었다. B카드사에서 지원금을 신청한 직장인 C씨도 “자칫하면 기부 버튼을 누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카드사들은 지원금 신청 후 변경이나 취소를 할 수 없다고 신청 화면에 공지하고 있다. 접수 첫날인 11일 실수로 기부했다며 취소 요청이 쏟아지자 행정안전부는 방침을 변경해 신청 당일만 취소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전액 기부가 돼 황당했다” “기부 칸을 만들어 혼란스럽다” “정부가 기부를 위한 피싱(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알아내 이용하는 사기 수법) 사이트를 만든 것 아니냐” 등의 문제 제기가 계속됐다. 행안부는 “다운을 막기 위해 한 페이지에 지원금 액수와 기부 의사를 묻는 칸을 함께 넣도록 한 것이지 기부 활성화 목적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논란이 커지자 행안부는 “13일부터 전액 기부 선택 시 팝업창으로 재차 확인 후 ‘기부하지 않음’도 선택할 수 있게 시스템 개선을 요청했으며, 당일 기부 내용을 수정하지 못하면 추후 주민센터 등에서 수정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은경 기자 choi.eunk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