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고용 충격, 무섭고 특이…앞으로 시간과 싸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가져온 고용 충격을 두고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무섭고 특이하다”고 밝혔다. 4월분 국내 고용 통계 발표를 이틀 앞두고서다.

김용범 기재차관, 페이스북서 밝혀

김 차관은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의 지난 9일자 1면을 소개했다. ‘미국 실업이 대공황 이후 최악을 기록했다’는 제목의 머리기사에 달린 그래프가 전면을 장식했다. 코로나19 위기가 본격화한 4월 한 달 사이 미국에서 20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는 사실을 알리는 그래픽이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뉴스1]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뉴스1]

그리고 김 차관은 지난 3월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렸던 NYT 지면을 다시 소개했다. “주당 실업 급여 청구 건수가 300만 명을 훌쩍 넘어서는 전대미문의 사태가 벌어졌다. 그 역사적인 사건을 1면 전면에 기발한 그래픽으로 보도한 NYT 편집이 인상 깊어 소개한 적이 있다”며 “3월 27일자가 그래프가 위로 솟구친 형태인데 9일자는 반대로 아래로 곤두박질하는 형상”이라고 그는 썼다.

김 차관은 이를 두고 “코로나 위기가 불러온 고용 충격이 얼마나 무섭고 특이한지 잘 보여 준다”며 “이번 위기가 다른 어떤 사건과 비교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국제통화기금(IMF) 말이 이해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시간과의 싸움이다”이라고 김 차관은 지적했다.

김 차관은 지난달 29일 “99개월 만에 4월 무역수지가 적자를 볼 수 있다”고 수출 통계(5월 1일) 발표 직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예고했다. 이날 글도 예고편에 가깝다. 통계청은 13일 4월 고용 동향을 발표한다.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한 4월 실업률을 포함해 각종 고용 통계가 공개된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