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4명꼴 긴급보육 이용..감염 우려에 당국 "개별놀이로 운영하라"

중앙일보

입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어린이집 긴급보육 이용이 늘자 보건당국이 방역 강화 조치를 추가로 내놨다. 꼭 필요한 가정만 이용하도록 권장하고 어린이집이 집단놀이보다 개별놀이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했다.

긴급보육 이용률 39.6%.."방역조치 강화"

보건복지부는 “어린이집 휴원이 길어지면서 긴급보육 이용 아동이 늘어나고 있다”며 “어린이집에 대한 방역 지원과 함께 자체적인 방역 조치를 강화한다”고 9일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긴급보육 이용률은 지난 2월 27일에만 해도 10%에 그쳤지만, 지난달 9일 17.5%로 높아진 뒤 지난달 23일 28.4%, 이달 6일 39.6%까지 올랐다. 어린이집 휴원 연장으로 긴급보육을 받는 원아가 10명중 4명꼴로 늘어난 것이다.

서울 종로구의 한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집. 중앙포토

서울 종로구의 한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집. 중앙포토

어린이집 이용 아동 증가에 따라 정부는 밀집한 환경을 막기 위해 긴급보육은 꼭 필요한 경우에 이용하도록 했다. 또 원아간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어린이집이 급·간식 및 낮잠 시 일정 거리를 확보하게 하고, 노래·율동 등 집단놀이보다 개별놀이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을 안내했다.

매일 두 차례 교직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경증이라도 증상이 있으면 업무에서 배제한 뒤 관찰·진료토록 했다. 전국 약 3만6000개소의 어린이집에 체온계·마스크·소독제 등 방역 물품도 지원한다.

복지부는 “그간 정부는 마스크·손 소독제, 추가 비축용 마스크 예산을 지원했지만, 긴급보육 이용 아동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 매일 소독, 발열 체크에 필요한 방역 물품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체온계(비접촉식)를 우선 확보해 이달 내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어린이집에 직접 공급할 계획이다.

광주 북구 오치동의 한 거리에서 어린이가 아버지 손을 잡고 어딘가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 북구 오치동의 한 거리에서 어린이가 아버지 손을 잡고 어딘가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우중 복지부 보육기반과장은 “방역 대응 이행상황을 수시 점검하고, 위반 시 지도·점검, 시정명령 등을 즉각 조치할 것”이라며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어린이집을 만들기 위해서는 긴급보육은 필요한 사람이 우선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조해달라”고 말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