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생계비’ 서울은 온라인 접수, 포항은 서류 떼서 방문 접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지방자치단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생계 곤란을 겪는 가구에 긴급생활비를 지원하기로 하면서 지원자들이 몰리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의 신청방식과 절차에 따라 서로 다른 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지자체 긴급지원 신청 제각각

지난 1일 인터넷 홈페이지 접수와 함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긴급재난금 지원 현장접수를 시작한 경북 포항시의 경우 행정센터로 지원자가 몰리며 긴 줄이 생기고 필요한 서류를 갖추지 못해 발길을 돌리는 경우도 있었다. 재산 보유현황 등을 증명하기 위해 부동산과 은행 등에서 발급받아야 하는 임대차계약서나 부채증명서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 일부 신청자는 해당 기관을 방문해 추가 서류발급을 받은 뒤 다음날 접수처를 다시 찾아야 했다.

포항시 관계자는 “접수 첫 날 매우 일시적으로 인원이 몰리는 곳이 있었으나, 혼선이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일부 안내받지 못한 고령자들은 파견된 시 공무원들이 직접 안내를 도우면서 원활한 접수가 이뤄졌다”고 해명했다.

지난달 30일부터 긴급생활비 지원 접수를 시작한 서울시의 상황은 전혀 달랐다. 신청자가 주민센터 등으로 몰린 경우는 없었다. 현장접수에 앞서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접수를 먼저 시작해서다. 서울시는 신청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기 위해 ‘온라인 5부제’를 시행하고 있다. ‘마스크 5부제’처럼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신청 가능한 날을 다르게 한 것이다. 서울시의 재난긴급생활비 현장 접수는 오는 16일부터 각 주민센터에서 진행된다.

윤상언 기자 youn.sang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