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인당 국민소득 증가율 마이너스…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해 실질 국민총소득(GNI)이 0.3% 증가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를 겪었던 1998년(-7.7%)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달러 기준으로는 명목 국내총생산(GDP)과 명목 GNI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부산 남구 감만부두와 신선대 부두에 컨테이너들이 가득 쌓여 있다. 송봉근 기자

부산 남구 감만부두와 신선대 부두에 컨테이너들이 가득 쌓여 있다. 송봉근 기자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019년 명목 GDP는 1914조원이다. 전년 대비 1.1% 늘었다. 하지만 달러 기준으로는 -4.6%로 후퇴했다. 환율 상승 영향이다.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1.7% 증가했다. 1인당 GNI는 3735만6000원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다. 하지만 이 역시 달러 기준으로는 3만2047달러로 전년 대비 4.1% 감소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쓰인다.

지난해 실질 GNI는 1년 전보다 0.3% 늘었다. 21년 만에 최저치다. 실질 GDP 성장률(2.0%)에 훨씬 못 미친다는 건 소득의 실질 구매력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