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표 구설에 떠나도···민주 "확진자 급증, 투명한 정보 탓"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코로나19 감염 확진자가 늘고 있는 대구경북 관련 '봉쇄정책'을 하겠다는 발언 후 논란 겪은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이 26일 오후 사퇴했다. [중앙포토]

코로나19 감염 확진자가 늘고 있는 대구경북 관련 '봉쇄정책'을 하겠다는 발언 후 논란 겪은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이 26일 오후 사퇴했다. [중앙포토]

"대구·경북 최대한 봉쇄정책"이라는 발언으로 문재인 대통령까지 해명하게 한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이 26일 사퇴했다.

홍 대변인은 이날 기자단에 문자로 “단어 하나도 세심하게 살펴야 함에도 대구·경북의 주민들께 상처를 드리고, 국민의 불안감도 덜어드리지 못했습니다. 이에 사과드리며, 책임을 지고 수석대변인에서 물러나겠다”고 알렸다. 그는 “질책을 달게 받겠다”며 “불신과 비난보다는 서로에 대한 신뢰와 협력으로 보듬으며 함께한다면, 반드시 어려움을 극복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민주당 당직자는 “홍 대변인 자의로 사퇴했고 지도부 차원의 권고는 없었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대구광역시 남구청을 방문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취약계층 복지전달체계 현황을 보고 받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대구광역시 남구청을 방문하여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취약계층 복지전달체계 현황을 보고 받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앞서 홍 대변인은 이날 오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신중하지 않은 표현 또 오해가 있는 표현을 통해서 혼란을 드리고 불안감을 드린 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동 관련 행정력 활용하겠다는 발언이 오해의 소지가 있었다”는 지적에는 “특정 종교 집단과 관련돼서 또는 접촉자나 유증상자 또는 확진자들에 대해서 자가 관리나 격리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지 않다”며 “이런 분들을 대상으로 행정력을 통해서 강제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최근 민주당에선 코로나 관련 구설에 오르는 이가 적지 않다. 앞서 이재정 민주당 대변인은 25일 코로나 감염 검사를 받은 심재철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에 대해 “국회 폐쇄라는 헌정 사상 초유의 사태를 불러온 해당 정치인들의 안이하고 무책임한 행태에 국민의 분노와 실망이 크다. 국회 내의 대규모 인력 동원 토론회를 기획하고 강행한 것에 유감을 밝힌다”고 비판했다. 이에 이만희 통합당 원내대변인은 곧바로 “마치 고의로 병에 걸리기라도 한 것처럼 모독한 명백한 망언”이라며 "우한 코로나가 곧 종식될 것이라며 집단 행사를 연기하거나 취소할 필요가 없다고 한 것이 바로 문재인 정권 아니냐”고 반박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오른쪽 두 번째)가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오른쪽 두 번째)가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

이날 오전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도 “외신에 따르면 자유로운 언론 환경과 투명한 정보 공개, 민주적 책임 시스템이 한국 확진자 급증 이유다. 역설적으로 한국 국가 체계가 잘 작동하고 있다는 뜻”(박광온 의원), “전 미국 FTA 국장은 한국 보건당국의 보고가 매우 상세하다고 평가했다”(이수진 의원) 등 발언이 나왔다.

당 지도부는 곤혹스러운 모양새다.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도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대구·경북 시·도민 여러분을 끝까지 지키겠다”며 “고위 당정협의회 설명하는 과정에서 적절하지 못한 표현으로 많은 심려를 끼쳤다. 방역 전문용어상 차단의미였지만 용어 적절치 못했다”고 사과했다.

홍 대변인의 사퇴를 시작으로 민주당은 선거대책위원회(선대위) 체제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후임 수석대변인은 강훈식 의원이 맡기로 했다. 강 의원은 선대위 수석대변인도 겸임한다. 그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코로나19를 이겨내는 일이 시급하고, 당의 요청에 응하는 것은 정당인의 당연한 책무라고 생각해 어렵게 임무를 맡았다”고 말했다.

이태윤 기자 lee.tae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