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시황] 송파·성동·동작구 강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9면

예비 신혼부부 등을 중심으로 일부 전세수요가 움직이면서 전셋값 상승률이 다소 높아졌다. 하지만 입주아파트 증가로 물량이 넉넉한 편이어서 전셋값이 크게 오르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7% 올랐다. 송파(0.25%).성동(0.23%).동작(0.18%).양천(0.17%).강동구(0.15%) 등 16개 구에서 올랐고 마포(-0.06%).노원구(-0.08%)는 내렸다.

재건축 이주 수요로 지난 7월부터 꾸준한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는 송파구는 오륜.신천동이 오름세를 주도했는데 오륜동 올림픽선수촌 34평형이 2억4천만~2억6천만원으로 1천만원 뛰었다.

성동구는 마장.금호.하왕십리동이 오름세였다. 마장동 현대아파트 24평형이 1천만원 오른 1억2천만~1억3천만원이다. 마장동 초이스중앙공인 박영준 사장은 "가을에 결혼하려는 예비 신혼부부들이 마장역 역세권 아파트를 많이 찾는다"고 말했다.

금호동 두산은 5백만~1천만원씩 올랐다. 44평형은 1천만원 상승한 2억원선에 전셋값이 형성됐다. 동작구에서 오른 곳은 신대방동. 우성아파트 27평형이 1억~1억2천만원으로 5백만원 상승했다.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들은 "경기가 나빠지자 전세를 옮기는 것을 꺼려하는 분위기"라며 "예비 신혼부부 등 신규 전세수요 외 기존 세입자들의 수요는 별로 늘지 않아 거래가 뜸하다"고 말했다.

신도시 상승률은 평균 0.14%를 나타냈다. 산본(0.59%).분당(0.16%).일산(0.07%).평촌(0.06%)이 올랐고, 중동(-0.16%)은 내렸다. 산본의 경우 수리8단지.소월3단지.백두9단지.무궁화1단지.목련12단지.충무2단지 상승세가 돋보였다. 수리8단지 한양 55A평은 1억6천5백만원선으로 1천5백만원 올랐다.

수도권은 0.08%의 상승률로 보합세였다. 20평형대와 60평형 이상은 내림세였고 30~50평형대가 0.1% 이상 올랐다. 광주(0.79%).수원 장안구(0.62%).안양(0.23%).수원 팔달구(0.22%)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광주 초월면 우림푸른마을 25평형이 5백만원 오른 6천5백만~7천만원이다.

안장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