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맨] 비트코인, 더 높은 고점을 향하여

Join:D

입력

[플루토스’s 차트맨]1월 5주차  2020년 1월은 매우 긍정적이었습니다. 월봉 종가 저항과 주봉 종가 저항 인근까지 상승했습니다. 거래량은 점차 줄어들고 있어 가격 하락을 의식하는 시장 참여자들이 늘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시장은 낙관적입니다. 일봉과 4시간의 낮은 타임프레임에서 하락의 신호는 보여주고 있지 않습니다.

월봉: 8개월 이평선이 오르고 있다

2020년 첫 월봉의 마감이 하루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비트코인 월봉의 이동평균선은 8개월을 주목해야 합니다. 8개월 이동평균선(8MA)은 2019년 4월을 기점으로 우상향하기 시작했고, 현재의 가격과도 비슷한 위치인 8994달러에 있습니다. 하지만, 기울기가 점점 완만해 지는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이는 2019년 6월 이후부터 진행된 조정의 여파입니다. 현재와 유사한 상황을 보여줬던 2018년 4월에는 그 다음 달(5월) 결국 8MA를 넘지 못하고 다시 넘어서기까지 1년이 걸렸습니다. 다만, 2018년 4월과 지금의 차이는 간격이 좁아진 50개월 평균선(50MA)의 지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50MA는 글을 작성하는 시점(1월 30일 현재)에 6938달러에 있습니다.

주봉: 2019년도 하락 조정이 끝난다

고점과 저점을 지속적으로 낮추던 2019년도 하락조정의 종료일 수도 있는 추세 이탈이 발생했습니다. 추세의 전환을 기대 할 수 있는 모습으로, 2020년 1월을 종료하게 될 가능성의 거의 확실합니다. 하락에서 상승 추세로의 전환은 첫째가 하락추세선 돌파, 둘째가 더 높은 고점 혹은 동일 고점 형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직전의 최저점을 이탈하지 않는 더 높은 저점 형성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추세 전환의 확증 신호는 더 높아진 고점을 형성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일겁니다. 주봉에서 이전 고점은 1만350달러이며, 종가는 9557달러입니다.

주봉 변동성: 변동성이 줄고 있다

가격은 마치 살아 있는 생물과도 비슷합니다. 아마도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그대로 표현되는 것이 가격이라면 그럴만도 합니다. 어느 때는 급하게 오르고 내리기도 하고, 어느 때는 몇 일 몇 주간 작은 캔들을 만들며 변동성을 줄이기도 합니다. 계속해서 변동성이 큰 시장을 만들지도 않고 지루한 비 변동성 장세를 유지하지 만도 않습니다. 그와 같은 모습을 볼린져밴드는 여실하게 보여줍니다. 밴드의 폭은 변동성을 나타내줍니다. 밴드의 폭이 넓어졌다 좁아졌다를 반복하며 파동을 만들어 가게 됩니다. 2019년도는 3월에 볼린저밴드의 중심밴드(20MA)를 넘고 밴드 상단을 돌파하며 변동성을 키우는 상승장을 만들었습니다. 10월에 한 번의 도전이 있었지만 실패했고 최근 밴드의 중심을 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지금과 2019년 3월의 차이점이라면 밴드의 폭, 즉 변동성일 것 같습니다. 변동성이 줄어들며 밴드의 상단을 돌파 하는 것이 어쩌면 상승장으로 가는 시작이 될지도 모릅니다. 현재 밴드의 폭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밴드 상단은 9900달러 인근에 위치합니다.

주봉 상대강도지수: 7524달러를 지켜야 한다

상대강도지수(RSI)는 널리 이용되는 기술적 분석의 도구입니다. 정해진 기간 동안(보통 14캔들) 상승분과 하락분의 비율을 백분율로 표기 합니다. 50P를 넘기 시작하면 시장의 상승 강도는 강하다 라고 판단하며, 50P이하에서는 반대로 약세를 이야기 하곤 합니다. 비트코인의 주봉 RSI는 54P가 2017년도 상승장에서 중요한 지지선으로 작용했습니다.

금주 형성되고 있는 주봉으로 인해 RSI는 54P를 넘게 됐습니다. 파동의 구조와 비슷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상태는 2014년 6월입니다. 2014년 6월 역시 이전 주봉의 종가는 저항으로 작용했으며, RSI역시 54P를 넘으며 긍정적 시장으로의 전환을 기대하게 했습니다. 하지만 약 한 달 동안 다음 상승이 그에 미치지 못했으며, 결국 RSI 45P를 이탈한 이후 과매도 상태로 진입한 이력이 있습니다. 현재 역시 동일한 구조를 보여줍니다. 2019년 10월 54P를 넘지 못했고, 최근 54P를 넘기고 있으나 이전의 주봉 종가인 9557달러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아마도 2014년도의 하락에 대한 확증 신호는 조정 이후 지키지 못했던 돌파한 저항선이라 여겨집니다. 현재의 차트에서 비교한다면 2019년 12월에 형성된 주봉의 종가인 7524달러를 주목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주봉 이동평균선 수렴과발산(MACD): 골든크로스를 기대한다

MACD역시 추세를 파악하기 유용한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12지수이동평균선과 26지수이동평균선의 간격을 나타내주는 MACD선과 그 MACD를 평활화한 시그널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히스토그램은 MACD와 시그널선의 간격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줍니다. MACD선이 우상향 하고 있느냐, 혹은 그 반대냐에 따라 추세의 방향을 정하기도 하며, 교차신호를 통해 현 상황을 이해 하고자 하는데 사용됩니다. 주봉에서 약 1년 만에 MACD와 시그널선의 낙관적 교차신호가 금주 발생했습니다. 또한 MACD 역시 0의 값을 목표로 우상향 하고 있어 조만간 단기 이동평균선인 12EMA와 장기 이동평균선인 26EMA가 골든크로스를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주봉 거래량: 9500달러 돌파 전까지는 거래량 줄 것이다

주 봉의 거래량은 2019년 6월 고점을 형성한 이후 계속해서 줄고 있는 추이를 보여줍니다. 눈에 띄는 거래량은 2019년 9월 9500달러 인근의 지지선을 이탈할 때 발생했던 것과 2019년 10월 약 42%의 상승을 보여줬던 양봉의 거래량이었습니다.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은 지속적으로 양봉의 거래량이 음봉의 거래량을 상회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금주는 중요한 저항 인근에서 거래량 지표의 크기를 줄이고 있습니다. 시장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9500달러 인근에 위치한 주봉의 종가를 넘기기 전까진 거래대금은 계속해서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일봉: 8890달러를 사수해야 한다

일봉에서 1월 28일 20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200일 이동평균선의 돌파는 2019년 10월 26일에도 발생했지만 단지 11일간 동안만 유지했습니다. 여전히 200일 이동평균선은 우하향 하고 있어 장기 추세전환에 대해서 말하긴 이른 시점입니다. 주봉에서 얘기한 직면한 저항 구간인 9500달러 인근에서 가격이 하락한다면 돌파한 200일 이동평균선을 사수하는 것은 상승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일 것입니다. 현재 일봉에서 200일 이동평균선은 8890달러에 위치합니다.

4시간: 계단식으로 오르고 있다

4시간의 낮은 타임 프레임에서 볼 수 있는 계단식 상승과 가속되는 상승 추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번째 상승 파동까지 완료했고, 현재가 5번째 파동이 진행 중 또는 종료됐음을 두 가지 경우 모두 가능합니다. 이전에 상승이 진행되는 과정을 통해 돌파한 고점이 이후 가격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이전 고점은 9188달러이며, 하락 이탈할 경우 참고할 수 있는 가격은 8793달러입니다. 2번 저점과 4번 저점을 연결한 상승 추세와 만나게 되는 경우 만약 가격이 중복된다면 일시적으로라도 하락이 멈추는 가격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조인디에서는 서로 협력 관계를 맺은 플루토스와 함께 암호화폐 차트 분석을 시도합니다. 이 글은 투자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 글의 정보를 참고한 투자와 관련한 모든 위험과 비용, 손실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