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우한 폐렴'여파 커지면 시장 안전조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우한 폐렴’ 확산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확대될 경우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에 따라 시장 안정조치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차관이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김용범 기획재정부 차관이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확대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정부는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중국 우한 폐렴의 확산 동향 및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통상자원부ㆍ보건복지부ㆍ문화체육관광부ㆍ금융위원회ㆍ한국은행 등이 참석했다. 김 차관은 “사태 종결 시까지 국민안전과 경제적 영향 최소화라는 두 가지 목표 달성을 위해 관계기관들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중국 춘절 이동 등으로 우한 폐렴 확산 가능성이 있는 만큼 여행업계를 통한 예방ㆍ대처 안내, 출입국 기록 공유 등 관계부처 간 협조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국내 방역과 검역ㆍ치료 등이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충분하고 신속한 예산을 지원하기로 했다.

참석자들은 국제금융시장이 증시 등에서 변동성이 다소 확대됐지만, 국내 시장과 관련해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을 함께했다. 과거 사스(SARSㆍ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등의 사례 때 우리 금융시장이 보여준 복원력, 사상 최고 수준의 외환보유액ㆍ순 대외채권 등이 그 근거다.

다만 우한 폐렴의 향후 전개 양상을 속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당분간 국내외 금융ㆍ외환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시장 불안이 확대될 경우 시장 안정 조치를 단행하기로 했다.

김용범 차관은 “이번 사태가 장기화한다면 최근 미·중 1차 무역 합의로 마련된 세계 경제 개선 기대가 약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투자 100조원, 정책금융 479조원 등을 신속히 집행해 경기 반등 모멘텀 확보에 차질이 없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확산 방지를 위해 충분하고 신속한 예산 지원이 이뤄지도록 조치할 것”이라며“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국내 확산 방지를 위해 선제적인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우한 폐렴 관련 방역예산지원 및 경제영향 최소화 점검을 위한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다.

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