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 전 삼성물산 대표, 변호인 바꿔 8일 만에 검찰 재출석

중앙일보

입력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직전 고의로 주가를 떨어뜨린 의혹을 받는 김신 전 삼성물산 대표이사가 지난 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직전 고의로 주가를 떨어뜨린 의혹을 받는 김신 전 삼성물산 대표이사가 지난 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신 전 삼성물산 대표가 8일 만에 재소환됐다.

15일 오전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4부(부장 이복현)는 김 전 대표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김 전 대표는 지난 7일 검찰에 출석했지만 변호인이 삼성물산 측의 변호도 맡고 있어 김 전 대표와 이해관계가 충돌된다는 이유로 검찰은 조사를 하지 않고 귀가시켰다.

검찰은 김 전 대표가 합병을 위해 삼성물산의 주가를 고의로 떨어뜨렸다고 의심하고 있는데, 함께 온 변호인이 피해자라 할 수 있는 삼성물산 측도 함께 대리하고 있어 부적절하다고 판단했다.

김 전 대표는 2010~2018년 삼성물산 상사부문 사장을 지냈다. 검찰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유리하기 위해 김 전 대표가 2조원 규모 카타르 복합화력발전소 수주 등 회사 실적을 고의로 공시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삼성물산의 가치를 의도적으로 떨어뜨렸다는 해석이다.

검찰은 지난 10일 김종중 전 삼성 미래전략실 사장을 불러 조사했다. 김 전 사장은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 당시 삼성 미전실 전략팀장을 지내며 합병 과정 전반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검찰은 당시 합병에 관여한 최지성 전 삼성 미래전략실장과 장충기 전 미래전략실 사장도 소환할 예정이다. 핵심 간부 소환이 마무리되는 대로 이재용 부회장 소환 여부도 저울질할 예정이다.

삼성그룹은 2015년 5월 제일모직 주식 1주와 삼성물산 주식 3주를 바꾸는 조건으로 두 회사의 합병을 결의했다. 같은 해 7월 주주총회에서 이 안이 최종 통과되며 합병은 성사됐다.

당시 삼성물산의 대주주였던 국민연금은 제일모직에 유리하게 설정된 합병 비율에 찬성표를 던졌다. 국민연금은 제일모직의 자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가치를 내세워 1 대 0.35 비율이 정당하다고 주장했다.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회계장부에서 콜옵션을 누락하는 분식회계 과정이 검찰 조사 과정에서 드러났는데, 이 역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을 유리하게 하기 위해 가치를 고의로 부풀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