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의원 처리」갈등…정국 진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야3당이 정호용 의원 등의 공직사퇴를 요구키로 합의한데 대해 민정당이 7일 성명을 발표하는 등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서 이 문제를 놓고 앞으로 여야 중진회담 등에서 커다란 진통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관계기사 3면>
여야는 정 의원 등의 공직사퇴 문제와 전두환 전 대통령의 국회증언문제를 적절히 처리키 위해 막후절충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야당일각에서는 정 의원이 공직을 사퇴하는 경우 사법처리 등 보복을 하지 않는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야당 측이 민정당 및 정 의원 측에 제안한 방안은 정 의원이 일단 공직을 사퇴하고 장기 외유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 비공식적으로는 의원직 사퇴 후 보궐선거에 나서는 것을 묵인하겠다는 제안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방안들은 정 의원 측에 당의 요로 또는 비공석 채널을 통해 전달됐으며 이에 대해 정 의원은 모두 거부한 것으로 알러졌다.
정 의원은 6일 광주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책임이 없는 만큼 아무 원칙 없는 야당의 사퇴요구는 고려할 가치가 없다고 강경한 입장을 거듭 표명했다.
이와 관련, 여권 일각에서는 5공문제의 원활한 처리를 위해 정 의원의 자진사퇴를 유도하자는 의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박준규 대표와 이춘구 사무총장은 그와 같은 해석을 강력히 부인했다.
민정당은 이날 당직자회의에서 성명을 채택, 『국회의 위증고발·사법처리라는 합법적 민주절차를 포기하고 인민재판식 공직사퇴·고발방법을 선택한 것은 비민주적·정치보복적 행태』라고 주장하고 『우리 당은 국가발전의 걸림돌이 되고있는 흘러간 노래를 더 이상 되풀이할 수 없으며, 부득이한 경우 집권당으로서 의연하고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이긍규 부대변인을 통해 발표한 성명은 또 『민정당은 헌정사에 큰 획을 그었던 6· 29선언과 6공 출범 후 이룩한 권위주의 청산과 민주발전의 성과를 믿고있다』며 『야권의 정치 보복적 행태를 모든 국민과 함께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박준규 대표는 부언해 5공 특정인사 처리문제는 국회가 위증여부를 고발하여 사법부가 판단토록 하는 것이 타당하며 일단 사법 처리된 인사에 대해서는 일사부재리의 원칙이 적용돼야한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또 전직대통령의 증언은 방법보다 진실규명이 중요하다고 전제하고 정치적 보복금지와 전직대통령의 예우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면서 이를 전제로 서면질의를 하되 각 당이 1회의 보충질문 기회를 주는 조건으로 국회에서 비공개 녹화 증언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