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협약 당사국총회 2일 개막…국제 탄소시장 지침 집중 협상

중앙일보

입력

제2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가 열릴 스페인 마드리드의 이페마(IFEMA) 컨벤션센터 앞을 행인들이 지나고 있다. 이번 총회는 2일부터 13일까지 열린다. [AFP=연합뉴스]

제2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가 열릴 스페인 마드리드의 이페마(IFEMA) 컨벤션센터 앞을 행인들이 지나고 있다. 이번 총회는 2일부터 13일까지 열린다. [AFP=연합뉴스]

제2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가 2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막, 오는 13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총회에서는 국제 탄소 시장 운영 지침에 당사국들이 합의할 수 있을지가 최대 관심사다.

지난해 유일하게 합의에 실패한 분야 #감축분 거래 때 '이중계산' 우려 때문

환경부는 이번 COP25에 전 세계 197개 당사국이 참석할 예정이며, 한국에서는 조명래 환경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국무조정실·외교부·환경부 등 관계부처 공무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대표단이 참석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당사국총회에서는 지난 2015년 채택된 파리 기후협정의 이행 보고서 구조·양식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행 기간 설정 등 87개 의제가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지난해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렸던 제24차 당사국총회(COP24)에서 타결되지 않았던 국제 탄소 시장 운영지침을 본격 논의하게 된다.

지난해 12월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렸던 제24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 참석자들이 폐막 행사가 진행되는 회의장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지난해 12월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렸던 제24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 참석자들이 폐막 행사가 진행되는 회의장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지난해 총회에서는 파리협정 이행에 필요한 총 9개 분야, 17개 지침 가운데 국제 탄소 시장과 관련된 지침을 제외한 8개 분야, 16개 지침은 모두 채택한 바 있다.

국제 탄소 시장 분야에서는 국제 거래가 일어난 온실가스 감축분에 대해 판매국과 구매국 사이의 '상응 조정' 방법에 대한 이견 때문에 합의에 실패했다.

상응조정은 감축분(credit)을 사들인 나라는 전체 배출량에서 감축분만큼 빼고, 판매국에는 판매한 감축분을 배출량에 포함해 감축분의 이중계산을 막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브라질 등에서는 판매국의 감축 노력과 삼림에 의한 탄소흡수 역할을 인정하고, 감축한 나라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달성 평가에 포함해 달라고 요구했다.
다른 나라들은 이를 인정하면 감축량 계산에 '구멍(loophole)'이 생길 수도 있고, 이중계산으로 인해 전체 파리기후협정 체제를 훼손할 우려가 있다며 반대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당사국들은 이번 총회에서 국제 탄소 시장 지침이 합의되지 않으면 파리협정의 본격적 이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인식 아래 협상에 임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 분야에서 진전된 합의를 끌어낼 수 있을지가 이번 총회의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다.

한국대표단은 한국을 비롯해 스위스·멕시코·모나코·리히텐슈타인·조지아 등이 참여하는 '환경 건전성 그룹(Environmental Integrity Group)'과 공조해 협상에 참여하게 될 전망이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11일(현지시간)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린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 고위급 회의에서 수석대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연합뉴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11일(현지시간)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린 '제24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 고위급 회의에서 수석대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연합뉴스]

조 장관은 10~11일 마드리드 이페마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고위급 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파리협정 이행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명하고, 국제 탄소 시장 지침의 적기 채택을 촉구할 예정이다.
또, 내년 6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녹색성장 및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P4G)' 정상회의 개최 등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도 소개한다.

한편, 파리협정에 따라 각국은 내년 말까지는 2015년 제출한 온실가스 국가 감축 목표(INDCs)를 갱신 제출해야 한다.
또, 2050년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도 내년 말까지 제출해야 한다.
2021년에는 한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가첫 번째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이행에 들어가게 된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