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어준의 뉴스공장'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교통방송(TBS) 라디오 프로그램인 ‘김어준의 뉴스공장’이 6일 방송에서 중앙일보 일문 번역판(일본어판)에 실린 기사 내용을 문제 삼았다.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 내용 바꿨다'는 #이영채 교수 주장은 사실 무근

이날 방송은 ‘일 경제도발, 일본발 가짜뉴스와 정부 여론전’을 주제로 한 인터뷰에 이영채 일본 게이센여학원대 교수를 출연시켰다. 이 교수는 방송에서 6일자 중앙일보 1면에 실린 ‘문 대통령 “남북 평화경제 땐 단숨에 일본 따라잡는다”’는 기사를 거론하며 “한국어판은 이번을 계기로 해서 남북 관계 평화가 중요하다는 식으로 써져 있는데, 일본어판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남북이 일본에게 대항해야 한다는 식으로 써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 내용을 두고 “이건 지금 일본 논리에서 가장 일본이 두려워하는, 결국 문재인 정부의 본심은 남북이 연대해서 일본을 공격하려고 한다는(것)”이라며 “그게 일본에게는 안전보장의 위기론을 강조해서, 이번 화이트리스트 배제는 당연했다”고 말했다. 이에 진행자 김어준이 “큰 가짜뉴스네요”라고 호응하자 이 교수는 “역시 한국은 북한 편이다, 이런 식으로”라고도 말했다.

또 이 교수는 해당 번역 기사가 ‘현재 일본야후(야후재팬) 뉴스사이트의 톱 기사로, 2만2000개의 댓글이 달려있다’며 중앙일보가 마치 잘못된 메시지를 일본사회에 발신해 한·일 갈등을 조장한 것처럼 묘사했다.

그러나 중앙일보는 국내 기사 내용을 의도적으로 바꿔 일본어판에 게재한 사실이 없다. 이 교수가 적시한 일본어판 기사는 중앙일보 6일자 지면 기사가 아니라 5일 오후 인터넷판에 올린 비슷한 제목의 기사 ‘문(文) "남북 평화경제 실현땐 단숨에 일(日)경제 따라잡는다"’(해당기사 링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44206)를 번역한 것이다. 다만 전문이 아니라 핵심적인 부분만 직역해 일본어판에 게재했다. 일본어판 제목 역시 원 기사와 똑같다. 이 교수는 이런 사실관계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서로 다른 내용의 기사를 비교해 예를 들었다.

이영채 교수가 6일 TBS 라디오 프로그램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거론한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 해당 일본어판 기사는 5일 오후 국내 중앙일보 인터넷판에 게재된 ‘文 "남북 평화경제 실현땐 단숨에 日경제 따라잡는다"’는 기사를 번역한 것이다.

이영채 교수가 6일 TBS 라디오 프로그램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거론한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 해당 일본어판 기사는 5일 오후 국내 중앙일보 인터넷판에 게재된 ‘文 "남북 평화경제 실현땐 단숨에 日경제 따라잡는다"’는 기사를 번역한 것이다.

이영채 교수가 거론한 일본어판 기사의 원문 기사. 5일 오후 국내 중앙일보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이영채 교수가 거론한 일본어판 기사의 원문 기사. 5일 오후 국내 중앙일보 인터넷판에 게재됐다.

6일자 1면에 게재된 '"남북 평화경제 땐 단숨에 일본 따라잡는다"' 기사. 이영채 교수가 거론한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와 다른 기사이다.

6일자 1면에 게재된 '"남북 평화경제 땐 단숨에 일본 따라잡는다"' 기사. 이영채 교수가 거론한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와 다른 기사이다.

또 이 교수의 주장과 달리 중앙일보는 일본어판 기사 제목과 내용에 ‘대항’이란 표현을 사용하지 않았다. 야후재팬이 뉴스사이트에 해당 기사를 걸면서 ‘문씨, 남북협력으로 일본에 대항(文氏 南北協力で日本に対抗)’이라는 자체 편집 제목을 달았을 뿐이다. 실제로 중앙일보 일본어판에도 해당 표현이 없다.

6일 야후재팬 뉴스사이트는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를 게재하면서 ‘문씨, 남북협력으로 일본에 대항(文氏 南北協力で日本に対抗)’이라는 자체 편집 제목을 달았다. 사진에서 빨간 네모 상자 안이 해당 제목이다. 이 제목은 야후재팬의 편집 방침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 중앙일보의 의사결정과 무관하다.

6일 야후재팬 뉴스사이트는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를 게재하면서 ‘문씨, 남북협력으로 일본에 대항(文氏 南北協力で日本に対抗)’이라는 자체 편집 제목을 달았다. 사진에서 빨간 네모 상자 안이 해당 제목이다. 이 제목은 야후재팬의 편집 방침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 중앙일보의 의사결정과 무관하다.

야후재팬 뉴스사이트는 머릿기사의 경우 자체 편집한 제목 옆에 카메라 모양과 함께 사진 출처를 표기한다. 그래서 해당 기사에도 ‘중앙일보 일본어판’이 사진 출처로 명기돼 있다. 이 역시 야후재팬의 뉴스사이트 편집 방침에 따른 것이지, 중앙일보의 의사결정과 무관하다.

이 교수는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가 일본 측의 논리를 강화하는데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식으로 주장했다. 그러나 해당 기사는 문재인 대통령이 5일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면서 밝힌 내용만 담은 사실 관계 보도일 뿐이다.

이하는 일본어판에 실린 기사 전문을 국문으로 옮긴 것이다.

김상진 기자 kine3@joongang.co.kr

<중앙일보 일본어판 기사 ‘문재인 대통령 “남북 평화경제 실현땐 단숨에 일본경제 따라잡는다”’ 국역>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은 5일 오후 2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면서 “남북간 경제협력에 의해 평화경제가 실현되면 우리는 단숨에 일본 경제의 우위를 따라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경제가 우리 경제보다 우위에 있는 것은 경제 규모와 내수시장”이라고 말했지만, 한·일 갈등을 남북 관계 개선과 연결지은 것이다.

또 “일본 정부는 그간 아픈 과거를 딛고 호혜 협력적인 한일관계를 발전시켜온 양 국민에게 큰 상처를 주고 있다”면서 “과거를 기억하지 않는 나라, 일본이라는 비판도 일본 정부가 스스로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이 자유무역질서를 훼손하는 것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도 매우 크고, 일본은 경제력만으로 세계의 지도적 위치에 설 수 없다는 점을 깨닫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문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도덕적 우위를 바탕으로 성숙한 민주주의 위에 평화 국가와 문화강국의 위상을 드높이고 경제 강국으로서 새로운 미래를 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기사 링크: https://japanese.joins.com/article/289/256289.html?servcode=A00&sectcode=A10>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