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북한, 8월 중 또다시 미사일 발사 가능성 있어”

중앙일보

입력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1일 “8월 중에 북한이 또 다시 미사일 시험발사 등 시위활동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훈 국정원장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서훈 국정원장이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정보위 여야 간사인 김민기(더불어민주당)·이은재(자유한국당) 의원에 따르면, 서 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한국의 첨단 전력 구입과 한·미 연합훈련 실시에 반발하는 명분에 더해, 북한이 본격적인 북·미 협상을 시작하기 전 무기체계 개선 활동을 진행해야 하는 필요성에 따른 것”이라며 이같이 보고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미국에 대한 직접 압박을 자제하면서 소통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 원장은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공개활동 양상과 관련해서는 “6·30 판문점 북·미 회담 이후 경제·민생 활동 없이 현지 군사 행보에 치중하고 있다. 공개활동을 자제하면서 대미·대남 메시지 발신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북한이 지난달 23일 공개한 잠수함에 대해선 “기존 잠수함을 개조한 것인지, 건조 중인 신형 잠수함인지는 전체 모양을 (북한이) 의도적으로 감추고 있어 추가 단서가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서 원장은 또 지난해 11월 서방 망명을 타진하며 공관을 이탈해 잠적한 조성길 주이탈리아 북한 대사대리의 행적과 관련해 “이탈리아는 떠났고, 신변은 어딘가에서 보호 받고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김민기 의원은 “한국 정부가 보호하고 있다고 얘기하지 않았다. (신변보호 주체는)제3국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 원장은 지난달 27일 목선을 타고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온 북한 선원 3명을 합동신문조사 하루 만에 송환한 것과 관련해선 “대공 혐의점이 없어 조사 종료 직후 송환했다”고 말했다. 서 원장은 북한 선원들이 돛대에 걸어 귀순 의사로 여겨졌던 흰색 수건의 정체에 대해 “북한 목선에는 위성항법장치(GPS)는 물론 항행등도 없어 야간에 다른 선박과 충돌하지 않기 위해 식별용으로 하얀 천을 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일본 도쿄신문이 지난달 28일 “북한이 지난해 내부 문건에 문재인 대통령이 보낸 귤 200t을 두고 ‘괴뢰가 보내온 전리품’이라는 표현을 썼다”고 보도한 데 대해 서 원장은 “북한의 공식 문건이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하준호·이우림 기자 ha.junh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