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램 반도체 현물가격 10개월 만에 처음으로 올랐다

중앙일보

입력

D램 메모리 반도체의 현물 가격이 지난해 9월 이후 10개월 만에 처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낸드플래시 반도체 제품이 1% 안팎의 상승세를 탄 가운데 D램 가격도 반등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낸드 뒤이어 D램도 반등 시작 

12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품인 DDR4 8기가비트(Gb) D램의 현물 가격은 3.1달러로 집계돼 전일 대비 1.9% 올랐다. DDR4 8Gb D램 가격이 상승한 건 지난해 9월 13일 7.36달러에서 같은 달 14일 7.38달러로 오른 후 10개월 만이다.

상대적으로 수요가 적은 구형 제품인 DDR3 4Gb D램은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전날 대비 상승세를 이어간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정부가 반도체 소재 3종(불화수소ㆍ포토 레지스트ㆍ플루오린 폴리이미드)을 놓고 수출 절차를 강화한 이후, D램 가격 상승을 예상한 일부 업체가 반도체 수요를 늘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수출 규제가 국내 메모리 반도체 생산에 끼치는 실제 영향과 관계없이 수요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자극하고 있다”면서 “향후 규제 영향에 대비해 일단 재고를 늘리는 방향으로 구매 전략을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규제가 가수요 부추긴 측면도  

전날에는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삼성전자의 PC용 메모리 제품인 ‘DDR4 8기가 PC4-21300’ 정품 가격이 2만원대에서 하루 만에 3만원대로 급등했다”, “D램 재고가 떨어져 주문 제품의 발송이 안 된다” 같은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시장의 불안 심리에 기대 일종의 투기적 수요(가수요)를 자극하는 행위로 보인다.

이번에 가격이 반등한 D램 현물가의 경우, 대표성이 크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현물 시장에서 거래되는 D램은 대부분 PC용 D램으로 전체 D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내외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대형 IT업체들이 서버용 D램, 모바일용 D램을 사들일 때 적용하는 가격은 ‘고정 거래가’로 한 달에 한 번 집계된다.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