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학력 젊은층이 교조 지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중앙svp 1천명 전화 여론조사>
◇교원노조 설립원칙에 대한 견해=교원노조에 찬성하는 성향은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을수록 강했으며 이에 비해 연령층이 높아가고 중졸이하의 저학력층에서는 반대목소리가 높았다.
연령별로 「찬성한다」는 의견은 20대 49.1%, 30대 33.3%, 40대 16.3%, 50대이상 13.5%로 기성세대보다는 젊은 세대의 찬성률이 높은 반면, 반대의견은 40대가 60.1%로 가장 높았고 50대이상 57.1%, 30대 48.7%, 20대 35.2%로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찬성」은 고졸이상의 고학력자(고졸 31.4%, 대졸이상 43.5%, 대학생 60.5%)에 많았고 「반대」는 중학졸업자가 53.2%로 가장 높았다.
성별로는 반대의견에는 남녀간에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남 49.3%, 여 46.6%) 찬성은 여자(27.5%) 보다 남자(36%)가 많았다.
◇교원노조 찬성이유=찬성한다고 응답한 3백16명중 65.5%가 교원노조가 주장했던 교육의 자주성 및 정치적 중립성 확보를 통한 참교육실천을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특히 참교육실현을 위해 노조가 필요하다는 사람은 학력별로는 대학생(80.8%)이 가장 높았고 20대(74.4%)와 30대(62.2%)의 비율로 젊은 세대들이 가장 절실히 느끼는 우리의 교육문제는 참교육 실천임을 나타내 주었다.
◇교원노조 반대이유=4백77명의 응답자중 반대의 가장 큰 이유로 52.4%가 「교사는 교육자지 노동자가 아니다」라고 밝힘으로써 아직도 우리사회에서 교직을 일반직업으로 보지 않고 성직으로 여기는 전통사상이 뿌리깊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27.7%가 학생들의 수업·진학에 지장이 클 것으로 우려, 노조교사들이 부르짖는 참교육실천이나 교육환경개선보다는 오히려 자녀의 현실적인 학업문제에 쏠려있음을 알 수 있다.
◇당국의 대응자세=전교조교사에 대한 당국의 징계·파면·직위해제 등을 지나친 대응이라고 본 사람은 저연령층으로 갈수록(20대 59.2%, 30대 50.9%, 40대 38.9%, 50대이상 33.1%), 학력이 높을수록(국졸이하 33.3%, 중졸 39.2%, 고졸 48%, 대졸이상 58%, 대학생 66.3%) 많아 학력이 높은 젊은층의 전교조 포용도와 지지도가 높았다.
◇당국에 대한 전교조의 대응=당국의 대응자세 비판(48.1%)과 교원노조의 대응자세도 「지나치다」는 의견이 51.7%로 엇비슷한 양비론을 보였고 국민들은 문교당국이나 교원노조의 자제와 함께 보다 합리적이고 발전적인 대응방식을 촉구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교조대응이 지나치다고 본 사람은 여자(48.7%)보다 남자(55%)가 약간 많았고 연령별로는 20대부터 50대이상까지 고르게 나타나 교원노조의 새로운 자세전환에 대한 바람은 젊은 세대나 기성세대 마찬가지였다.
◇전교조군제 해결방안=이미 결성된 전교조문제에 대해 65.9%가 기존노조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전제아래 가입교사들의 요구만 선별 수용하거나(46.5%) 현행법에 따라 엄격히 대응해야한다(19.4%)는 부정적인 견해를 보인 반면 20.1%만이 설립을 인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령층이 낮을수록 전교조설립 인정을 요구(20대 32%, 30대 20.8%, 40대 10.6%, 50대이상 7.1%)하며 노조에 긍정적인 견해를 보인 반면 연령층이 높을수록(20대 11.2%, 30대 17.7%, 40대 27.4%, 50대이상 28.8%) 현행법에 따른 엄격한 대응을 요구해 나이가 많을수록 전교조에 부정적이다.
학력별로는 대학생들이 설립인정을 요구하는데 적극적이었고(44.2%) 반면 현행법에 따른 엄격한 대응을 촉구한 것은 중졸(32.5%)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설립을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은 광주(40%)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라(30.8%)지방이 다소 높게 나타나 다른 지역보다 호남지방의 지지도가 높았다. 「설립은 인정치 않되 가입교사들의 요구는 선별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은 인천(64.9%)이 가장 높았고, 부산(54.1%)·대구(53.1%)·서울(52.6%) 등의 순이었다. 현행법에 따라 엄격히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은 제주(45.5%)가 가장 높았다.
◇현 교육계의 문제점=응답자중 가장 많은 26.1%가 입시위주의 교육을 꼽았고 다음으로 학부모의 지나친 교육열(18.1%)을 들었다.
다음으로는 사학재단의 부정부패(12.8%), 과밀학급·낙후시설 등 교육환경미비(12.3%) 등이 큰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이 밖의 문제점으로는 ▲관료주의적 학교운영(10.3%) ▲교사들에 대한 처우미흡(7.9%) ▲바람직한 스승상 부재(6.9%) ▲기타(1.9%) 순이었다.
◇방북사건이 통일논의에 미치는 영향=최근 잇단 불법방북사건은 통일논의를 위축시키는 계기로 보는 사람이 58.1%로 압도적이었으며 14.6%만이 통일논의를 진전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27.1%가 「잘 모르겠다」고 응답, 꽤 많은 사람들이 태도표명을 유보했다.
특히 연령층이 낮을수록 통일논의를 진전시킬 것(20대 21.3%, 30대 14.9%, 40대 9.6%, 50대이상 7.1%)이라는 긍정적 견해를 갖고 있고 40대(62.7%)가 가장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광주(35%) ▲제주(27.3%) ▲전라(26.9%)지방 사람들이 긍정적 견해가 높고 ▲인천(73%) ▲대구(65.3%) ▲서울(64.1%) ▲경기(63.8%) ▲경상(61.8%)지방 순으로 통일논의를 위축시킨다는 부정적 견해를 나타냈다. <정순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