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형 일자리…LG화학 “배터리 공장 적극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지난달 코엑스 EV 트렌드 코리아에서 참석자들이 LG화학 배터리팩을 보고 있다. [뉴스1]

지난달 코엑스 EV 트렌드 코리아에서 참석자들이 LG화학 배터리팩을 보고 있다. [뉴스1]

‘구미형 일자리’ 창출을 위해 LG화학이 배터리 소재 공장을 짓는 방안이 추진된다. 9일 업계와 정치권, 관련 지방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LG화학은 지난 7일 경북도와 구미시로부터 ‘구미형 일자리 투자유치 제안서’를 전달받은 자리에서 양극재 공장을 짓겠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미시, 부지제공·세금감면 제시 #이르면 이달 중 정식 협약 체결

구미형 일자리는 광주시와 현대차가 합의한 ‘광주형 일자리’에 이은 두 번째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로 추진된다. 임금을 절반 수준으로 줄여 기업의 인건비 부담을 덜어주는 대신 정부와 지자체가 저임금 보전을 위해 주거·문화·복지·보육시설 등을 지원하는 노사 상생형 일자리 창출 모델이다.

이날 투자 제안서를 전달하는 자리에서 경북도와 구미시 관계자들은 배터리 분야의 투자 규모와 시기를 확정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세금 감면, 부지 제공 등 투자 인센티브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인력 확보 방안과 이를 위한 채용 지원, 사택 등 공장 건설에 따른 복지 관련 계획도 구체적으로 내놨다.

이에 LG화학은 배터리 양극재 공장 건설이 이번 사업에 적절하다면서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LG화학 관계자는 “투자 제안서를 일주일가량 검토한 뒤 1차 의견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양측은 앞으로 몇 차례 조율 과정을 거쳐 이르면 이달 중 정식으로 협약을 체결할 방침이다. 협약이 성사되면 LG화학은 최소 수천억원을 구미에 투자해 공장과 부대 시설 건립에 나서게 된다.

양극재는 음극재·분리막·전해액과 함께 배터리의 4대 소재로 불린다. 배터리의 용량과 출력 등을 결정짓는 핵심 소재인 데다 전체 생산원가의 약 40%에 달할 만큼 배터리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크다.

LG화학이 배터리 완성품이 아닌 소재 공장을 짓기로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이유는 두 가지로 분석된다. 우선 글로벌 전기차 생산공장이 대부분 해외에 있어 배터리 완성품 생산은 현지화하는 것이 원활한 협업과 원가 경쟁력 유지에 유리하다. 또 양극재에는 배터리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경쟁력이 다수 들어 있어 국내에서 생산하는 것이 기술 보안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LG화학은 2016년 GS이엠의 양극재 사업을 인수하면서 생산기술 고도화에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세계 1위 코발트 정련회사인 중국 화유 코발트와 전구체·양극재 생산법인을 설립하는 등 최근 양극재 기술 경쟁력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박태희 기자 adonis55@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