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에 파묻어 밟게” vs “신중해야”…뒤집힌 ‘전두환 기념석’ 두고 고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5월 17일 오전 11공수여단 정문 앞에 있던 부대준공기념석이 광주 서구 5·18 자유공원으로 옮겨와 거꾸로 눕혀져 있다. [연합뉴스]

지난 5월 17일 오전 11공수여단 정문 앞에 있던 부대준공기념석이 광주 서구 5·18 자유공원으로 옮겨와 거꾸로 눕혀져 있다. [연합뉴스]

5·18자유공원 화장실 인근으로 옮겨져 시민들이 밟고 지나갈 수 있게 한 ‘전두환 기념석’에 대해 5월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가 활용 방안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3일 보도했다.

'전두환 기념석'은 1983년 11공수여단이 전남 담양으로 부대를 이전하면서 세운 것으로 '선진조국의 선봉 대통령 전두환'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11공수여단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을 향해 집단발포를 자행했던 부대다.

5월 단체는 지난달 16일 11공수로부터 이 기념석을 넘겨받아 광주 서구 5·18자유공원 화장실 인근으로 옮겨와 거꾸로 세워놨다. 일각에서 11공수여단의 ‘전승기념비’ 격으로 세운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된 데 따른 조치였다.

그러나 일부 회원들은 현재 5·18자유공원으로 이전돼 있는 11공수여단의 부대 준공기념석을 땅에 묻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5월 단체는 광주 망월묘역(민족민주열사 묘역) 바닥에 묻혀있는 ‘전두환 민박 기념비’처럼 시민들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이름을 밟고 지나가도록 하자고 주장한다.

광주 북구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역 바닥에 설치된 전두환 전 대통령 민박기념비. 이 비석은 1982년 전 전 대통령이 담양의 한 마을을 방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으며 이를 발견한 5월단체들이 비석을 깨뜨려 옛 망월묘역을 방문하는 참배객이 밟을 수 있도록 땅에 묻어놨다. [뉴스1]

광주 북구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역 바닥에 설치된 전두환 전 대통령 민박기념비. 이 비석은 1982년 전 전 대통령이 담양의 한 마을을 방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으며 이를 발견한 5월단체들이 비석을 깨뜨려 옛 망월묘역을 방문하는 참배객이 밟을 수 있도록 땅에 묻어놨다. [뉴스1]

기념석을 땅에 묻자는 의견에 대해 다른 일부 회원과 광주시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기념석을 훼손할 경우 현재 반환을 추진하고 있는 ‘전두환 범종’ 등 다른 5·18 상징물을 추가로 확보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광주시 관계자는 “5월 3단체의 충분한 합의가 있어야 추진할 수 있는 사항”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