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총재 친서 북에 전달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가안전기획부 관계자는 24일 안기부가 김대중평민당총재에 대한 참고인조사를 강행하려고 하는 것은 김총재가 서경원의원을 통해 김일성 등 북한당국에 친서를 전달하고 여비 등 자금을 지원했을 가능성을 예상하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따라서 서의원이 지난해 8월 출국 전에 문익환목사 밀입북때와 마찬가지로 입북계획·목적 등을 사전에 김총재와 협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기부는 또 지금까지의 서의원에대한 조사에서 서의원은 허담으로부터 김기환추기경의 방북실현과 평민당이 통일에 주도적 억할을 할 수 있도록 촉매역할을 하라는 등 두가지 주요지령을 받고 있는데 서의원이 지령수행을 의해 김추기경을 만나 입북을 권유한 것이 분명해 평민당에 대한 지령사항에 대해서도 어떤 형태로든 김총재와 협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이 관계자가 말했다.
안기부는 또 김총재가 지난 2월 유럽 5개국 방문시에 헝가리주재 북한대사와 접촉을 했거나 접촉을 위해 사전연락한 혐의의 사실여부도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기부는 이 밖에 김총재가 지난 6월16일 이홍구 통일원장관을 당사로 불러 사전 상의도 없이 전대협간부 2명을 불러 면담토록 하여 평양축전참가문체를 협의토록 했고 그 후 6월30일 임수경양이 밀입북한 것과 관련, 김총재가 전대협측과 임양의 밀입북 등 평양축전참가문체를 사전에 협의했거나 지원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서의원·문전환목사·임양 등의 밀입북사건이 북한의 연속적인 공작에 따른 것으로 이사건의 상호간에 직·간접적인 연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공안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 날 『김총재가 기자회견을 통해 불고지 혐의와 공천문제에 무관함을 밝히고 있으나 수사당국이 김총재에 대해 조사를 하고자 하는 데에는 그 밖에 여러 가지 혐의점이 있다』고 말하고 『김총재는 당국의 조사에 응해 이같은 의문점에 대해 정식으로 무관함을 밝히는 것이 도리』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원기 전총무는 『안기부관계자의 말이야말로 대한민국 정계를 근본적으로 혼란시키려는 김일성의 의도를 그대로 수행하는 프락치행위에서 나온 발언』이라고 비난하고 『그같은 발언은 서경원사건이 상으로 철저히 추궁해 발설자와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공식논평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