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진회담·3야 공조회복 촉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대중평민당총재는 24일 서경원의원사건과 김총재 자신에 대한 출두요구문제 등을 둘러싸고 빚어지고 있는 공안정국을 풀기 위해 4당 중진회담 및 4당총재회담의 개최를 제의하고 현재 난조를 보이고 있는 3야 공조체제의 회복을 촉구했다. <관계기사 3면>
김총재는 서의원 사건이후 처음으로 공식기자회견을 갖고 자신에 대한 안기부의 출석요구에 대해『안기부가 서의원사건을 평민당탄압에 악용하고 있기 때문에 출석을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총재는 기자들과의 1문1답에서 구인문제에 대해 『만약 수사당국이 대안을 제시해 온다면 검토해 보겠다』고 밝혀 구인이외의 제3의 방법에는 어느 정도 호응할 수 있다는유연한 입장을 보였다.
김총재는 기자회견에서 『노정권은 서의원 개인의 밀입북 사건을 평민당 파괴의 정치탄압으로 악용하고 있으며 이는 5공 청산과 민주화조치를 회피하기 위한 구실이라고 주장하고 5공청산과 민주화를 위해 ▲5공 핵심 6인의 공직배제 ▲최·전전대통령의 증언 ▲국가보안법·안기부법의 개정 등 종래 주장을 되풀이 했다.
김총재는 『지금은 6공화국수립이래 최대의 위기국면』이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혼미한 정국을 타개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중진회담을 소집하여 실종된 정치를 되찾는 정치협상을 재개하고 ▲임시국회를 소집하며 ▲필요하다면 4당 총재회담도 열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김총재의 중진회담 등 제의에 대해 민정당은 김총재가 소환조사에 응하기 전에는 정치협상을 배제한다는 방침아래 중진회담과 4당총재회담을 일단 거부키로 했다.
민주당은 정국을 대화로 풀어 나가기 위해 중진회담의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수용했으나 서의원사건의 정치적 해결은 반대했으며, 공화당은 중진회담에 대해서는 반대하나 4당 총재회담 또는 개별 총재회담은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