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멈춰서나…9일 파업 찬반 투표

중앙일보

입력

서울의 시내버스. [중앙포토]

서울의 시내버스. [중앙포토]

서울시 버스노조가 9일 총회를 열고 파업 찬반 투표를 실한다. 과반수가 찬성하면 15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한다.

과반수 찬성하면 15일부터 서울 버스 총파업 #서울시 "타 지역보다 상황 나아, 파업 쉽지 않을 것" #노조측 "서울시와 사측이 파업으로 몰아가고 있다"

6일 서울시 버스노조는 홈페이지에 "단체교섭 승리를 위한 투쟁을 철저히 준비하자"는 제목의 글을 게시했다. 게시물에는 "더 이상 사용자와의 대화는 의미가 없다"면서 "총파업 투쟁은 현재의 국면을 돌파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하고 유일한 우리들의 무기"라고 밝혔다. 이 노조에는 서울시 버스 노조 67곳이 모두 가입돼 있다.

앞서 지난달 29일 전국자동차노동조합총연맹(자동차노련)은 전국의 지역 노동청에 쟁의조정을 신청하고 이달 14일까지 노사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15일 파업에 들어간다고 예고했다. 주 52시간 근무제에 따른 임금 인상과 근무시간 단축이 주요 쟁점이다.

자동차노련 측은 7월 주 52시간제를 시행하면 휴일·연장 근로를 대체할 인력 1만5000명을 신규 채용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또 근로시간 감소에 따라 임금 감소분을 보전해달라고 요구하며 회사 측과 협상해 왔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는 "버스 회사의 적자를 메워주는 준공영제를 시행 중이고, 추가 인력을 채용해 이미 주 48시간 가량 근무하고 있다. 버스기사의 임금 역시 다른 시·도에 비해 높은 편"이라고 주장한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시 관계자는 "노조가 뚜렷한 동인이 없는 상태에서 총파업을 강행하기 어렵고, 실제 파업을 시행했을 때 시민 반응이 호의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서 자동자노련 대표자회의가 열렸다. [연합뉴스]

지난 3월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서 자동자노련 대표자회의가 열렸다. [연합뉴스]

노조 측 입장은 다르다. 이태주 서울시버스노조 사무부처장은 "오히려 서울이 지방보다 근무 조건이 열악하다"고 강조했다. 일부 장거리 노선의 경우 여전히 주 52시간 넘게 일하고 있어 노선 조정과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현재 만 61세인 정년을 경기도·인천처럼 만 63세로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지난 20년간 사측의 지원금으로 복지기금을 조성해 노조원 자녀 학자금을 지원하던 혜택도 지속할 것을 요구했다. 복지기금은 5년 또는 10년 단위로 운영하는데 이달 31일부로 중단된다.

이태주 사무부처장은 "서울시가 버스준공영제를 하면서 숫자상으로는 근무 여건이 개선된 것처럼 보이지만, 현장 분위기는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간 문제점들을 해결해달라고 서울시와 사측에 제안서와 요구안 등을 보냈지만 성의있는 답변을 듣지 못했다"며 "노조를 파업으로 몰아가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형규 서울시 버스정책팀장은 "버스노조와 협의해 조정이 이뤄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면서 "만에 하나 파업이 강행되면 지하철을 증편하고 전세버스를 운행하는 등 대체 교통수단 총동원해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박형수 기자 hspark97@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