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탈원전 적자’로 안전투자 줄인 것 아냐”

중앙일보

입력

한국전력은 강원 고성 산불 원인과 관련, 자유한국당 등 일각에서 한전이 탈원전 정책 등으로 적자가 예상돼 안전 보수 비용을 줄인 것이 아니냐는 주장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한전은 이날 보도 해명자료에서 “고성산불 보도내용 중 탈원전으로 올해 2조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돼 변압기 등의 보수·정비 비용을 줄여 관리부실이 발생하였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지난해 한전 영업적자는 탈원전 영향이 아닌 국제 연료가격 급등에 따른 연료비 증가가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한전은 또 “적자 여부와 상관없이 안전과 직접 관련된 예산은 지속해서 증액해 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전은 배전설비에 대한 안전점검 및 순시 등에 소요되는 점검수선예산(손익예산)은 매년 증액해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진은 “최근 3년간 설비교체보강 및 점검수선 평균투자비는 1조8000억원이나 최근 10년간 평균은 약 1조1000억원”이라며 “지난해 실적 1조4000억원은 오히려 10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한전 배전설비 유지보수 예산 해명자료. [자료 한전]

한전 배전설비 유지보수 예산 해명자료. [자료 한전]

이날 자유한국당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한국전력의 예산 삭감이 강원도 산불 발생의 한 원인이 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한전의 배전 유지보수 예산을 삭감한 부분이 있다”며 “그런데 이 사건(강원도 산불) 발생 원인은 한전의 (배전) 유지관리 문제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전신주 개폐기가 잘못됐다는 것 등 여러 가지 얘기가 나오고 있어 기본적으로 한전의 관리 소홀 문제는 당연히 제기될 수 있다”며 “국과수의 감정 결과를 기다리면서 저희도 산불 원인을 조속히 규명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