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기고] 바람을 부르는 바람개비 29. 의료취약지 양평 (1)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8면

양평길병원 개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는 필자.

1970.80년대 우리 정부는 의료취약지구 해소를 위해 대학병원 등에 해외경제협력기금(OECF) 자금을 지원, 부산.대전.구미 등 전국 50개 지역에 민간병원을 세웠다. 당시 양평병원도 OECF 자금을 지원받아 건립이 추진됐지만 재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82년 어느 날 대학 후배인 이성우 보사부 의정국장이 만나자고 했다.

"양평병원이 도산 후 2년 동안 방치되고 있다"며 "양평군은 재정자립도가 18%로 경기도 최하위권이니, 적자도 불 보듯 뻔한데 누가 맡겠느냐"고 하소연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선배님은 고향에다 무료병원 짓는 게 소원이라고 했는데, 앞으로 전(全) 국민 의료보험시대가 오는 만큼 무료병원 설립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행정적인 지원을 다 할 테니, 무료병원을 운영하는 셈 치고 양평병원을 맡아 달라"고 강력하게 요청하는 것이었다.

나는 일단 현지에 가보기로 했다. 당시 인구 6만명의 양평은 그야말로 허허벌판이었다.

지금은 번듯한 건물에 식당도 즐비하지만, 당시엔 말 그대로 전형적인 산골이었다.

공사가 중단된 양평병원 내부는 거미줄이 가득했고, 철근이 삐져나와 있었다. 곳곳에 부실공사 흔적이 남아있는 흉물 그 자체였다. 아무리 생각해도 인수는 어려울 것 같았다. 안되겠다 싶어 병원을 나서려는데 할머니 대여섯 분이 나를 막아섰다. 그 중 한 할머니가 내 치맛자락을 잡으며 "선생님, 우리 할아범이 중병에 걸려 누워 있는데, 큰 병원에서 큰 주사 한 번만 맞고 죽는 게 소원이랍니다"라며 애원하는 것이다. 종합병원에서 영양제라도 한 번 맞아봤으면 한다는 뜻이리라.

언뜻 어렸을 적 기억이 떠올랐다. 농촌에서 의사도 없고, 병원도 없어 치료 한 번 못 받아 보고 죽어가는 많은 사람을 보면서 '의사가 되겠다'고 다짐하지 않았던가.

할머니의 간절한 모습을 보자 마음이 흔들렸다. 나는 할머니 손을 꼭 잡고 "제가 병원을 맡아서 할아버지하고, 아프신 모든 분들을 치료해 드릴게요"라고 약속했다.

홀가분한 마음으로 병원 언덕을 내려오는데 당시 양평경찰서 수사과장이었던 이정식씨가 기다리고 있었다. 그는 인천에서 근무할 때 우리 병원에서 아이 셋을 낳은 분이다.

그분이 나를 추어탕 집으로 안내하더니 "우리나라에선 이 병원을 맡을 사람이 선생님밖에 없습니다"라고 했다. 그리고는 "제가 선생님 병원에서 아이를 얻으면서, 선생님이 환자에게 쏟는 애정을 직접 보지 않았습니까. 인천에서 무료진료로 환자를 돌봐주셨듯이 양평 주민들을 돌봐주십시오"라며 양평병원 인수를 종용하는 것이었다. 내 결심을 알려주자 그는 뛸듯이 기뻐했다.

이렇게 해서 82년 6월 16일 양평군 공흥리에 80병상 규모의 양평길병원이 탄생했다.

이길여 가천길재단 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