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부회장처럼…현대차 청바지·운동화 차림 출퇴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2017년 6월 경기도 일산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소형 SUV 코나를 소개하고 있다. 청바지에 티셔츠 차림의 정 부회장의 이날 복장은 현대차 안팎에서 화제가 됐다. [사진 현대차]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이 2017년 6월 경기도 일산 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소형 SUV 코나를 소개하고 있다. 청바지에 티셔츠 차림의 정 부회장의 이날 복장은 현대차 안팎에서 화제가 됐다. [사진 현대차]

이르면 다음 달부터 현대자동차 양재동 본사에서 청바지를 입고 출·퇴근하는 현대자동차 임직원을 찾아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달부터 자율복장 추진

현대자동차그룹이 임직원 근무 복장을 자율복장으로 바꾼다. 현대차 관계자는 24일 통화에서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추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일하는 방식과 조직문화 전반을 바꿔야 한다는 그룹 전체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서울 양재동 본사를 시작으로 근무 복장을 직원 자율에 맡길 계획이다. 자율복장이 도입되면 넥타이를 착용하지 않는 비즈니스 캐주얼은 물론이고 청바지에 운동화를 신은 복장도 허용된다. 옷깃이 없는 티셔츠를 입고 출·퇴근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앞서 현대차는 2017년부터 국내 영업본부와 일부 부서에 한해 매주 금요일 캐주얼 데이를 도입해 운영했다. 보수적이고 남성적인 사내 문화가 강한 현대차가 자율복장 근무제 도입에 나선 것을 두고 재계에선 파격적이란 평가가 많다.

자율복장 도입이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이 최근 보여준 행보와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현대차 그룹 내부에서 나온다. 정 부회장은 2017년 6월 코나 출시 행사에 청바지와 티셔츠 차림(사진)으로 등장해 화제를 모았다. 정 부회장은 또 이달 중순 넥쏘의 자율주행 기능을 셀프 카메라 형식으로 소개해 주목을 받았다. 이에 앞서 각종 행사에서 “현대차는 정보통신(ICT) 기업보다 더 ICT 회사처럼 변화해야 한다”고 정 부회장은 수차례 강조해 왔다. 외국인 임직원이 늘면서 사내 조직문화가 바뀐 것도 자율 복장 추진의 배경으로 꼽힌다.

현대차의 조직 문화 실험은 신입사원 공채에도 도입됐다. 회사는 연 2회 실시하던 대규모 신입사원 공채를 없애고 상시 공채로 전환한다고 이달 초 발표했다. 현대차는 “연 2회 실시하는 정기 공채로는 미래 산업환경에 맞는 융합형 인재를 적기에 확보하기 어렵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채용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채용 주체도 본사 인사부문 주도하는 것이 아닌 해당 현업부문이 주도하는 직무 중심 선발로 바꿨다.

강기헌 기자 emc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