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택시요금 인상 ] 역삼동~서울역 2만300원 “기본료 800원만 오른줄 알았는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5년4개월 만에 요금 인상된 택시 타보니  

16일 오전 9시쯤 서울 성북구에서 개인택시를 탔다. 목적지는 서울역 앞이었다. 기사 조모(67)씨는 “오늘부터 요금이 올랐어요”라고 알려줬다. 택시 안의 미터기엔 기본요금 ‘3000원’이 떠 있었다. 대신 택시 안엔 ‘요금 조견표’가 붙어 있었다. 이 표에는 미터기에 표시된 요금에서 실제로 얼마를 더 내야 하는지 적혀 있었다. 9.6㎞쯤 달려 목적지에 도착한 택시의 미터기엔 1만1300원이 표시됐다. 하지만 기사 조씨가 조견표를 보고 신용카드 단말기에 추가 요금 1700원을 찍었다. 기자는 택시요금으로 1만3000원을 지불했다.

서울 택시요금이 5년4개월 만인 16일 인상됐다. 이날 오전 택시기사 조모씨가 새 요금 조견표를 본 후 추가 요금 1700원을 신용카드 단말기에 입력하고 있다. 임선영 기자

서울 택시요금이 5년4개월 만인 16일 인상됐다. 이날 오전 택시기사 조모씨가 새 요금 조견표를 본 후 추가 요금 1700원을 신용카드 단말기에 입력하고 있다. 임선영 기자

서울 택시요금이 인상됐지만 미터기엔 아직 인상 전 요금 체계가 입력돼 있다. 미터기에 1만1300원이 표시됐지만, 1700원이 추가된 1만3000원을 지불했다. 임선영 기자

서울 택시요금이 인상됐지만 미터기엔 아직 인상 전 요금 체계가 입력돼 있다. 미터기에 1만1300원이 표시됐지만, 1700원이 추가된 1만3000원을 지불했다. 임선영 기자

16일 오전 4시부터 서울시 택시요금이 올랐다. 2013년 10월 인상 이후 5년4개월 만이다. 일반택시의 기본요금(2㎞)은 주간 800원이 올라 3800원이 됐다. 심야(오전 0~4시) 시간대는 1000원 인상된 4600원이다. 하지만 거리·시간 요금도 인상되면서 실제로 오른 액수는 이보다 더 많다. 주간의 경우 거리요금은 10m 줄어든 132m마다 100원, 시간요금은 4초 짧아진 31초당 100원이 부과된다. 야간의 경우 132m마다 120원, 31초당 120원으로 조정됐다. 서울시가 제작한 요금 조견표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이전까지 3만900원이던 택시요금은 3만4600원으로 3700원 올랐다.

서울 택시 안에 비치된 조견표. 미터기가 수리되기 전까지 이 조견표에 따라 인상 요금이 부과된다. 임선영 기자

서울 택시 안에 비치된 조견표. 미터기가 수리되기 전까지 이 조견표에 따라 인상 요금이 부과된다. 임선영 기자

기사 조씨는 “대부분의 손님이 오늘부터 요금이 오르는 걸 알고 있었다”면서도 “막상 결제하면서 ‘생각보다 많이 나왔다’며 부담스러워 한 손님도 있었고, 내가 깜빡 잊고 추가 금액을 입력하지 않아 인상 이전 요금만 받기도 했다”고 말했다. 인상 요금을 반영하는 미터기 수리는 이달 18일부터 28일까지 순차적으로 이뤄진다. 16일 오전 4시 인상 시행 직전까지 이전 미터기 요금 체계로 운행해야 했기 때문이다.

거리·시간요금 합해 수천원 인상에 당황 #일부 시민들 “앞으론 지하철 타야겠다” #미터기 ‘기본 3000원’ 조견표 보고 추가 #기사·승객 깜빡 잊고 옛 요금 결제하기도

서울 택시요금이 5년4개월 만에 인상된 16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택시를 기다리고 있다. 임선영 기자

서울 택시요금이 5년4개월 만에 인상된 16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택시를 기다리고 있다. 임선영 기자

서울역 택시 승강장에서 내린 시민들 표정엔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생각보다 요금 인상 폭이 컸기 때문이었다. 직장인 강동인(28)씨는 “서울 지하철 신금호역에서 이곳까지 예전보다 1300원 오른 8900원을 냈다”면서 “기본요금 800원 인상이라고 해서 그 정도만 더 내면 되는 줄 알았더니 그게 아니었다. 요금이 생각보다 많이 나와서 놀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택시에서 내리면서 ‘이젠 지하철 타고 다녀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직장인 김모(56)씨는 강남구 역삼동에서 서울역까지 2만300원을 지불했다. 인상 이전보다 2400원을 더 냈다. 그는 “경제가 어려운데 공공요금이 이렇게 올라 가계 부담이 늘었다”면서 “앞으론 버스와 지하철을 주로 이용할 거다”고 말했다. 충북 청주시에서 온 노모(65)씨는 “충북보다 서울 기본요금이 1000원이나 비싸서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인상된 요금에 맞게 서비스의 질도 올라가길 바라는 목소리도 높았다. 직장인 이유진(45)씨는 “어젯밤에 강남구에서 택시가 잡히질 않아 한참을 추위에 떨었다”면서 “물가 상승으로 택시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생각되지만, 승차난 해소와 같이 서비스 개선도 같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무거운 짐을 들고도 택시 승강장에서 지하철역으로 발길을 돌리는 시민도 있었다. 또 택시 대신 카풀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 무리도 보였다.

서울역에서 서울시청까지 택시요금은 이전보다 1000원 오른 5800원이 나왔다. 임선영 기자

서울역에서 서울시청까지 택시요금은 이전보다 1000원 오른 5800원이 나왔다. 임선영 기자

택시기사들은 아직 미터기에 인상 요금이 반영되지 않아 애를 먹었다. 조견표를 보고 추가 금액을 카드 단말기에 입력한 후 결제해야 하기 때문이다. 택시마다 요금 계산에 이전보다 시간이 걸리다 보니 뒤에 선 차들이 경적을 울리기도 했다. 택시기사 이소연(70)씨는 “손님과 뒤차 눈치가 보여 마음이 조마조마하다”고 말했다. 한 80대 택시기사는 조견표를 보지 않고, 어림짐작으로 추가 금액을 입력하기도 했다.

서울 택시 기본요금은 16일부터 3800원으로 올랐지만, 아직 미터기에는 3000원이 떠 있다. 임선영 기자

서울 택시 기본요금은 16일부터 3800원으로 올랐지만, 아직 미터기에는 3000원이 떠 있다. 임선영 기자

승객과의 시비를 우려하는 기사들도 있었다. 기사 김기철(62)씨는 “미터기에 표시된 요금만 보고 습관적으로 카드 결제를 한 손님이 있었다. 다행히 이 승객은 추가 요금 1000원을 현금으로 더 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심야 운행이 걱정이다. 과거 인상 경험으로 비춰볼 때 일부 취객들은 ‘미터기에 표시된 금액만 내겠다’며 고집을 피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만난 기사 대부분은 “요금 인상 후 보통 2~3개월 간 승객이 하루 20%정도 감소한다”면서 “첫날이어서 아직 감소 현상은 보이지 않지만, 인상 후 첫 평일인 다음주 월요일부터 손님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