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TV도 중국 시장서 샤오미에 발목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621호 13면

삼성전자의 중국 시장 내 TV 판매량이 연간 100만대 밑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액정(LCD) 패널 TV 경쟁력을 키워온 중국 로컬 업체들이 가격 대비 성능비(가성비)를 앞세워 물량 공세에 나선 까닭이다.

‘55인치 35만원’ 저가 공세에 #연간 100만대 판매 어려울 듯

1일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1~3분기(1~9월) 삼성의 TV 판매량은 71만6000대로 집계됐다. 1분기(28만3900대)부터 2분기(24만5900대), 3분기(18만6500대)까지 지속해서 하락하는 양상이다. 한 가전업계 관계자는 “추세적으로 삼성의 시장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에 연간 100만대 판매가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같은 기간 중국 시장에서 TV를 가장 많이 판매한 업체는 하이센스(554만2000대)로 나타났다. 이어 스카이워스(544만7000대)·TCL(511만대)이 뒤를 이었다. 삼성의 중국 시장 내 TV 판매량이 줄어든 사이 상대적으로 약진한 곳은 샤오미였다. 샤오미의 중국 시장 TV 판매량은 2016년까지 100만대 이하였지만, 2017년 245만대 판매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엔 3분기에 이미 판매량이 500만대를 넘어섰다.

삼성과 LG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쓰면서도 55인치 4K TV를 35만원 선(2199위안)에 내놓는 샤오미의 파격적인 가격에 중국 소비자가 반응하고 있다. 같은 크기의 삼성 4K TV는 90만 원대다. IT업계 관계자는 “최근 중국의 TV 시장이 하이엔드와 로우엔드로 양극화되는 양상인데, 샤오미가 가성비를 내세워 파고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샤오미는 지난해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TV와 유사한 전략으로 점유율 28%를 기록하며 삼성전자(24%)를 제쳤다.

중국의 TV 시장 상황도 삼성에 다소 불리하다. 최근 중국에서 삼성이 현재 판매하지 않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IHS마킷에 따르면 중국 내 OLED TV 시장 규모는 지난해 1~3분기 11만5000대로 집계돼 전년 같은 기간(8만3000대) 대비 38% 성장했다. 판매량 기준으로 중국 1위 업체인 하이센스와 대만 ‘폭스콘’에 인수된 샤프 역시 지난해부터 OLED TV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