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국가 -문맹퇴치 운동 지지부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전세계 문맹자의 75%가 살고 있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여러 나라가 문맹률을 낮추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쉽게 결실을 거두지 못하고있다.
80년을 기준으로 약6억6천6백만 명의 문맹자가 있는 이 지역의 각국은 유네스코(국제연합 교육과학문화기구) 를 중심으로 그 동안 줄기차게 문맹퇴치 정책을 펴 왔다.
그러나 이들 나라에서는 정책 예산의 미비로 좀처럼 문맹률이 낮아지지 않아 유네스코는 지난날의 문맹퇴치 전략을 다소 수정,「모든 사람을 위한 아시아 -태평양 교육프로그램」(APPEAL) 을 최근 시행하고 있다.
이밖에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도 자금을 지원, 이들 나라의 문맹률을 낮추는데 노력하고 있다.
유네스코 보고서에 따르면 60년에서 80년 사이 20년 동안 문맹률은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에 따라 차이는 심하다.
중국과 이란은 이 기간 중에 35%이상 문맹률을 줄였으며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파푸아뉴기니 등은 평균 23%정도였다.
반면 아프가니스탄·방글라데시 등은 각각 3.4%, 2.6% 감소하는데 그쳤다.
네팔은 7.4%, 파키스탄은 15.9%에 그쳐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같이 지역별 차이가 나는 이유는 좀 복잡하다.
인구 증가율이 높은 나라는 아무래도 문맹률 감소가 더디다.
정부의 교육비 책정도 문맹률의 변수로 작용하지만 재미있는 사실은 여성교육을 중요시하지 않는 전통과 습관에도 좌우된다는 사실이다.
APPEAL의 최근 보고서는 문맹률이 낮아지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교육에 대한 사회·경제적인 문화를 들고 있다.
이 보고서는 또 부적당한 교육정책·행정조직 등도 장애요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유네스코의 문맹퇴치 계획에 따르면 5대문명국가인 아프가니스탄·방글라데시·네팔·파키스탄·인도 등은 현재의 추세로 가면 4억7천5백만 명의 문맹자가 계속 존재할 것으로 보고있다.
나머지 25개 국가에서 예상되는 1억7천만 명을 합치면 모두 6억4천5백만 명이 된다.
이렇게 아시아대륙의 문맹률이 높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 유네스코 관리들은 유엔의 극빈국으로 분류된 아프가니스탄·방글라데시·네팔·부탄을 위시해 다른 아시아국가들이 교육 기회를 늘리는데 정치력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말하고 있다.
어떤 독재국가에서는 심지어 국민들의 불만이 높아지는 것을 두려워해 문맹퇴치에 앞장서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
또 자원의 불공평한 분배가 일부에 집중을 가져오면서 보다 넓은 교육기회를 박탈하기도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문맹퇴치의 가장 큰 장애는 기본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인식과 여성에 대한 교육 차별이다.
유네스코의 한 연구관은『기초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부모들이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는 사례가 많다』며 『학교에 갈 기회를 얻어도 중도에서 탈락하는 비율이 높다』고 지적했다.
교육의 성차별은 특별히 두드러져 70년에서 85년 사이 문맹자가 6억3천6백만 명에서 6억5천1백만 명으로 늘어난 사이 실제 남자만의 문맹률은 2억4천7백만 명에서 2억3천3백만 명으로 줄었으며 여성 문명률만이 3억9천만 명에서 4억1천8백만 명으로 늘었다.
APPEAL은 『현재 문맹률을 낮추기 위해 쏟는 노력이 현저히 부족하다』며 『정치적·문화적 변화를 포함,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또 방글라데시·중국·인도·이란 등에 대해서는 기초교육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도록 권고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