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협상 추진하는 데 안보 효과 고려할 필요 없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노 대통령은 그러나 "개성공단 생산제품의 한.미 FTA 대상 품목 포함 문제는 정치적 고려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이 문제는 여야의 초당적 외교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문수 대통령 경제보좌관은 노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 "한.미 FTA 협상 과정에서 철저히 한국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은 또 "협상 과정에서 시간에 쫓겨 내용이 훼손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며 "한.미 양측의 이익이 되는 최적의 균형점을 찾는 방향으로 협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 보좌관은 이와 관련, "협상의 자세에 대해 얘기한 것"이라며 "구체적인 협상의 시한.일정을 염두에 두고 한 발언이 아니며 기존의 한.미 FTA 대응 기조와 변화는 없다"고 부연했다.

농업부문 대책과 관련, 노 대통령은 "가정이지만 FTA를 하지 않는다 해도 농업 구조조정을 하지 않고 살 수 있느냐는 짚어볼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FTA를 하든 안 하든 농업의 구조조정은 필연적인 피할 수 없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노 대통령은 "1994년의 멕시코와 현재의 한국은 기술력.경제력에 있어 매우 큰 차이가 있음에도 차이점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 비교해 보도하는 것은 국민 오도의 위험이 크다"고 주장했다.

회의에는 한국노총.민주노총 부위원장, 전농의장, 한농연 부회장 등 '한.미 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소속 대표들도 참석했다. 이들은 "절차상 의견 수렴이 충분치 못해" "양극화가 심화될 것" "농민이 겪을 피해 보상에 대한 합의 없이 진행하는 것은 문제"라는 다양한 반대 의견을 내놓았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