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100만t…바다 방류 고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로 벽이 떨어져 나간 후쿠시마 제1원전 모습. [공동취재단 제공]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로 벽이 떨어져 나간 후쿠시마 제1원전 모습. [공동취재단 제공]

지난 2011년 사고 후 폐로가 진행 중인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 원전에서 발생한 오염수가 100만 톤(t)에 육박해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과 원자력 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에 일본 정부는 바다에 오염수를 방출하는 안을 고려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높다.

요미우리신문은 29일 후쿠시마 제1 원전의 오염수가 내년 초 100만t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도쿄전력은 2020년 말까지 저장용 탱크 137만t 분량을 확보할 계획인데 벌써 70% 이상이 오염수로 채워진 셈이다. 후쿠시마 제1원전의 원자로 건물 주변에는 고농도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물이 고여 있다. 이 오염수와 외부에서 들어온 물과 섞이며 양이 급격히 늘고 있다.

도쿄전력은 이를 정화한 뒤 대형 물탱크에 넣어 원전 부지에 쌓아놓고 있다. 물탱크의 개수는 930개에 이른다.

하지만 오염수가 급증하며 보관할 곳이 부족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처럼 오염수가 계속 쌓여가는 이유는 도쿄전력과 일본 원자력 당국이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오염수 처리에는 땅에 묻거나 증기로 조금씩 공기 중에 내보내거나 바닷물에 방류하는 방식 등이 있는데 방사능 오염 문제가 도사리고 있어 결정이 쉽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일본 정부는 이 중 오염수를 해양에 방출하는 쪽으로 고려하고 있지만 후쿠시마현과 인근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반대가 심하다. 후쿠시마현 의회와 지역 어민들이 '풍평피해(風評被害·소문으로 인한 피해)'만 키울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