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울 미세먼지는 중국 아닌 주로 서울서 나온 것”

중앙일보

입력

지난 26일 오전 서울 종로 일대가 미세먼지와 안개로 뿌옇다.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등 10여 개 구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는 '나쁨' 수준을 보였다. [연합뉴스]

지난 26일 오전 서울 종로 일대가 미세먼지와 안개로 뿌옇다.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등 10여 개 구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는 '나쁨' 수준을 보였다. [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서울의 미세먼지는 주로 서울에서 배출된 것”이라며 한국의 미세먼지가 중국에서부터 온 것이라는 한국 매체의 보도에 대해 반박했다.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류여우빈 중국 생태환경부 대변인은 28일 브리핑에서 ‘한국의 대기오염과 중국 미세먼지의 관계에 대해 몇 가지 공유하고 싶은 정보가 있다’면서 입을 열었다.

류 대변인은 “우선 전체적으로 봤을 때 공개된 관측 자료를 놓고 보면 중국의 공기 질은 대폭 개선됐지만, 한국 서울의 초미세먼지(PM 2.5) 농도는 다소 높아졌다”고 말했다.

대기 오염물질의 성분을 따져보면 2015∼2017년 초미세먼지를 일으키는 질소산화물(NO)의 농도는 서울이 중국 베이징과 옌타이, 다롄 등보다 매년 높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서울에서 심각한 대기오염 현상이 나타났지만 고강도의 대기 이동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류 대변인은 “11월 6∼7일 서울에서 심각한 대기오염 현상이 나타났지만,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르면 11월 초에 대규모, 고강도의 대기 이동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서울의 오염물질은 주로 자체적으로 배출된 것이고 보도에 따르면 한국 전문가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고 강조했다.

한편 류 대변인은 “대기오염을 포함한 환경오염은 전 세계의 문제로 각국이 협력해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6월 베이징에 한중 환경협력센터를 열어 한국과 대기, 물 토양 등의 정책 교류와 합동 연구, 기술 협력 등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1월에 한중 환경협력위원회 등을 열어 내년의 협력계획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