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선 불매운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한때 본격 거론됐던 특정지역 양성화 방안도▲통행량에 따른 매상의 차이로 기존노점들이 받아들이기 어렵고▲노점전체에 대한 합법화 요구로 번질 가능성이 있어 해결책으로는 부족해 일부 지방에선 시행 직전에 『장사도 안 되는 곳엔 옮겨갈 수 없다』는 반발로 무산되기도 했다.
지난해 6월 가락동 H아파트 주민들이 불매운동을 벌여 한때 1백여 개소에 이르렀던 노점수가 절반 이하로 줄기도 했다.
결국 노점상 문제는 정책당국의 장·단기 정책과 시민들의 노력이 한데 모아질 때만 바람직한 해결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영세서민의 「마지막 생계수단」은 보호하면서 이를 빙자한 탈세치부나 사회질서 교란을 엄정히 감시하는 방법을 찾아야할 때다. <민병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