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노스 “풍계리 핵실험장 완전파괴 불분명…현장사찰 의제화 필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2일(현지시간) 미국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지난 5월 파괴된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내 행정시설과 지휘본부 안에 있는 큰 건물 두 채가 여전히 들어서 있다며 핵실험장이 완전 파괴됐는지 여부가 불분명하다고 보도했다. [사진 38노스]

12일(현지시간) 미국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지난 5월 파괴된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내 행정시설과 지휘본부 안에 있는 큰 건물 두 채가 여전히 들어서 있다며 핵실험장이 완전 파괴됐는지 여부가 불분명하다고 보도했다. [사진 38노스]

미국 북한 전문매체 38노스가 지난 5월 북한이 파괴한 풍계리 핵실험장 일부가 원상 그대로 남아있는 것으로 보이는 등 파괴 정도가 불분명하다며 검증을 위한 제대로 된 사찰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12일(현지시간) 38노스는 ‘풍계리 핵실험장 : 현 상황과 미래의 사찰’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지난 10월 31일과 한 달 후인 11월 30일 촬영된 위성사진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갱도 입구 폐쇄와 별도로 이 구역들의 파괴 정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추정했다.

38노스는 지난달 위성사진을 보면 행정지원 시설들과 지휘본부 안에 있는 가장 큰 두 개의 건물이 온전한 상태고, 행정지원 구역 내 개간 활동이 이뤄진 것도 관찰됐다고 전했다.

지난 5월 파괴된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남쪽 시설에서 20여명의 인력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가 12일(현지시간) 전했다. [사진 38노스]

지난 5월 파괴된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남쪽 시설에서 20여명의 인력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가 12일(현지시간) 전했다. [사진 38노스]

또 남쪽 지원구역 내 현장에서 약 20여 명의 인력이 발견됐고, 실험구역으로 이어지는 주요도로에 차량이 지나간 흔적이 보인다며 핵실험장이 완전 폐기된 것은 아니라는 추가 증거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38노스는 “해빙이 끝날 경우 북한이 풍계리 또는 다른 지역에서 실험을 재개하지 않을 것이라는 걸 보장할 수 없다”며 풍계리 핵실험장에 대한 현장 사찰을 북미 비핵화 협상 과제 중 하나로 제시했다.

앞서 북한은 북미 정상회담 전인 지난 5월 24일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기했다. 하지만 해외 사찰단 참관이나 검증 없이 이뤄져 ‘불가역적 폐기’ 여부에 대한 회의론이 적지 않았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