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단식에 물러선 민주당 "연동형 비례대표 동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 [연합뉴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 [연합뉴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이 12일 선거제도 개편에 대해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활동시한을 연장하고 내년 1월 중 정개특위내에서 선거제도 개혁에 합의해 2월 임시국회에서 최종 의결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내 선거제도 개편 논의를 총괄하는 윤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윤 사무총장은 “오늘 최고위가 열리기 직전 비공개 최고위에서 선거제도 개혁에 대한 입장을 결정했다”며 “민주당은 그간 여야 간 논의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등 선거제 개혁 기본 방안에 동의하며 여야 5당이 이러한 기본방향에 합의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정개특위에서 논의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야 5당 합의를 위해서는 자유한국당의 입장 변화도 필요하다”며 “한국당 입장 변화를 촉구하며 새로 구성된 한국당 원내지도부와도 적극 협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나경원 자유한국당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YTN 라디오 ‘김호성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 선거제도 개편 논의와 관련해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의원정수 확대 없이는 이뤄지기 어렵다. 국민들이 공감해주실 수 있는지 모르겠다”며 부정적 입장을 전했다.

그러면서 “당장은 연동형 비례대표제 문제를 생각하는 것 보다는 정개특위 활동 시한 등 부터 살펴보는 게 맞다”고 덧붙였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정당 지지율만큼 의석수를 배분하는 선거제도다. 정당 총 의석을 정당 득표율에 비례해 할당한 뒤 총 의석수에서 지역구 의석수를 뺀 만큼 비례대표 의석으로 할당하는 방식이다.

현행 선거제도는 거대 정당에 유리하다. 20대 총선의 경우 민주당의 정당득표율은 25.54% 였음에도 41% 의석을 챙겼다. 또 한국당은 33.5%의 지지율을 받았지만 40.67%의 의석을 가져갔다.

반대로 군소정당은 정당지지율보다 낮은 비중의 의석을 받았다. 이 때문에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와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민주당과 한국당에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며 일주일째 단식 농성을 벌이고 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