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건이 민단 단장 “징용판결 뒤 SNS 헤이트스피치 급증...나쁜 조약이어도 교섭 통해 해결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간담회 하는 여건이 재일민단 단장 [연합뉴스]

간담회 하는 여건이 재일민단 단장 [연합뉴스]

 “한ㆍ일 과거사 문제는 냉정하게 접근해야한다. (피해자) 개인에게는 미안하지만 나쁜 조약이어도 계속 교섭을 하면서 진전시켜나가야 한다”

일본어에 더 익숙함에도 불구하고 최대한 한국어로 자신의 생각을 전한 여건이(呂健二)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단장. 그는 지난 6일 도쿄 민단중앙본부에서 일본 외무성 초청으로 한·일 기자단 교류차 방문한 기자들과 만나 대법원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화해ㆍ치유 재단 해산으로 악화된 한ㆍ일관계를 풀기 위한 해법을 이같이 밝혔다.

여 단장은 “강제 징용 판결 이후 SNS에서 헤이트 스피치(hate speechㆍ특정 집단에 대한 공개적 차별ㆍ혐오 발언)가 급격히 늘었다”며 “센다이에 있는 한국 총영사관에도 협박 전화가 오고, 민단 본부에도 일본 경찰차가 매주 온다”고 악화된 분위기를 전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2016년 시행된 ‘헤이트 스피치 억제법’을 거론하며 시민단체의 반대 시위가 법을 어기지 않는 선에서 이뤄진다고 말했다. 법을 지키는 것을 중요시하는 일본의 특성 때문이다. 나라간의 약속인 조약이 지켜지지 않았을 때 더욱 거친 반응이 나올 수 있는 이유다. 여 단장은 “조약(한일 청구권 협정)이 있는데도 우리가 ‘없다’는 식으로 나오면 일본인은 ‘한국은 법치주의 국가가 아닌가? 외교를 무시하는 나라인가’하는 의문을 갖는다”고 말했다.

그는 한ㆍ일 관계 갈등의 근본적 원인으로 역사 교육의 부재를 꼽았다. 여 단장은 “일본의 근현대사에는 청일전쟁ㆍ러일전쟁ㆍ1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했고 (태평양전쟁에서는) 원자폭탄이 떨어져서 졌다는 것 밖에 없다”면서 “따라서 일본인은 역사 인식도 부족하고 (한국인들의) 마음 아픈 역사에 대해 잘 모른다”고 말했다.이어 “피해자는 기억하지만 가해자는 잊는다”며 “일본의 보통 사람들은 이 문제에 대해 관심도 없고 전혀 모르니까 ‘왜 한국은 시끄럽냐’고만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 단장이 한ㆍ일 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은 결국 ‘냉정함’이다. 감정적 접근보다는 이성적으로 판단해야한다는 뜻이다.

인터뷰를 진행하던 기자들에게 “싸움만 보도하지 말고 냉정하게 과거를 공부하고 해결 방법을 찾아주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한국인의 독도 문제를 감정적으로 대하는 것에 안타까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나는 ‘독도는 우리땅’ 노래를 제일 싫어한다. 세계에 영토 분쟁이 없는 나라는 없다”면서다. 우리 땅인 독도를 가지고 구태여 일본을 자극할 필요가 없고 저런 감성적 접근 보다는 냉정하게 대응하는것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뜻이다.

한편 한국 정부는 총리실을 중심으로 일제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관련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낙연 총리는 6일 국무총리실 출입기자단과의 만찬간담회에서 “국무조정실ㆍ외교부ㆍ법무부 등 관계부처 차관들로 구성된 전담팀(TF)을 꾸려 지난 11월부터 회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또한 일본 측과 비공식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권유진 기자, 도쿄=외교부 공동취재단 kwen.y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