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파업 갈수록 악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서울 지하철이 노조원들의 농성 합류· 조업 기피가 갈수록 늘고 일부에서 운행 방해까지 벌어지는 데다 근무에 나선 근로자들의 과로가 겹쳐 현재의 부분 운행마저 계속이 어려운 상황으로 빠져들고 있다. 정비· 운행 등 인력이 워낙 모자라 무리한 운행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도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곳곳에서 고장으로 운행이 지연되거나 출근길에 만원 전동차가 멎어 분노한 시민들이 유리창을 부수고 집단 항의하는 등 최악의 상태가 연출되고 있다. <관계 기사 13면>
한편 노조에 의해 불신임 대상이 되어 왔던 김명년 지하철 공사 사장이 사태에 책임을 지고 19일 사퇴, 노사 대화에 돌파구가 열렸으나 당국과 노조의 입장간에 여전히 거리가 커 대화를 통한 수습 전망은 흐리다.
검찰은 20일 농성 중인 파업 근로자들의 요구인 노조원 석방 및 수배 해제 요구는 들어줄 수 없다고 밝혔다.
서울시와 지하철 공사는 파업 사태 장기화에 대비, 기관사를 임시 특채하고 철도 고교 수련 생들을 지원 받아 현장에 투입키로 했으며 안전 운행과 직결된 정비를 위해 1호선 전동차는 대자· 현대 중공업 등 전동차 제작 업체에 긴급 정비 지원 요청을 하는 등 대책을 마련 중이다.
5일째 서울 공덕동 민주 당사에서 파업 농성 중인 노조 임시 지도부(위원장 권한대행 서청호)는 20일 오전 기자 회견을 갖고 『지하철 운행을 강행할 경우 대형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며 17개항의 「대형 사고 예상 사례」를 제시, 즉각 운행을 중지토록 촉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