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하락 때 '달러 쓰는 법'] 여행땐 카드 쓰고, 송금은 늦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요즘처럼 환율이 요동칠 때는 환(換)테크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해외 여행을 가기 위해 5천달러를 산다면 환율이 달러당 20원만 떨어져도 10만원을 아낄 수 있다. 무역대금으로 수십만.수백만달러를 거래하는 기업이라면 언제 환전하느냐에 따라 직원 몇명의 연봉에 해당되는 돈이 왔다갔다 한다.

환테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환전 시점이다. 최근 추세를 봐선 달러를 사야 하는 사람은 가급적 늦게 하고 팔아야 하는 사람은 최대한 빨리 하는 게 유리하다. 하루 하루는 환율이 올랐다 내렸다 하겠지만 추세적으론 앞으로도 달러 환율이 더 떨어질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의견이다.

그러나 달러가 아닌 일본 엔화나 유로화는 원화와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원.엔과 원.유로 환율은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환율 하락시엔 신용카드=해외 여행을 가서는 가급적 신용카드를 쓰는 게 환율에서 유리하다. 외화 현찰이나 수표는 미리 국내에서 환전해야 하지만 신용카드는 쓰고 나서 3~7일 정도 지난 뒤의 환율로 청구되기 때문이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쓰다 남은 외화를 바꾸느라 환율에서 손해를 볼 일도 없다.

다만 신용카드는 여행자수표에 비해 환율이 높기 때문에 외국에서 한꺼번에 큰 돈을 내야 할 때는 카드보다 수표가 나을 수 있다.

외화를 송금할 때는 가급적 시기를 늦춰야 한다. 유학생 자녀를 둔 사람이라면 등록금 등 당장 쓸 돈을 먼저 보내고 급하지 않은 돈은 나중에 보내는 것이 유리하다. 반면 외국에서 달러를 송금받았거나 여행갔다 와서 쓰고 남은 달러가 있으면 즉시 원화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계획이 있는 달러는 장롱 속에 넣어두지 말고 한푼이라도 이자가 나오는 은행 외화예금을 활용하는 게 좋다. 특히 환율이 하락하면 은행이 일정부분 보상해주는 환차손 보상예금도 나와 있다.

◆무역업체는 선물환 활용=무역업체들은 거래처에 협조를 구해 수출 대금은 최대한 앞당겨 받고 수입 대금은 늦춰서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송금 시기를 조절해 환위험을 피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파생금융상품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

주요 은행들은 선물환 거래 등 파생상품을 담당하는 부서를 따로 두고 있다. 선물환 거래는 앞으로 환율이 어떻게 변하든지 간에 미리 정한 환율로 거래하기로 약속하는 것이다.

예컨대 수출업체들이 선물환 계약을 잘 활용하면 앞으로 환율이 크게 떨어지더라도 현재 환율과 비슷한 수준에서 수출대금을 환전할 수 있다. 거래 은행을 찾으면 선물환 거래에 대해 자세히 설명들을 수 있다.

주정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