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정책평가…"대북·외교 긍정 58%, 경제 부정 59%"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의 정책을 평가하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북·외교정책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이라는 답변이 50%를 넘었지만 경제와 고용·노동정책은 부정적인 평가가 과반을 넘어섰다.

30일 리서치 전문업체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27∼29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출범 1년 7개월째를 맞은 문재인정부의 분야별 정책평가(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를 한 결과, 대북 정책과 외교 정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이 각각 58%였다. 복지 정책에 대한 긍정평가(56%)도 과반을 넘겼다.

반면 경제와 고용·노동 정책에 대해선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각각 59%, 55%였다.

교육정책과 공직자 인사 부분에선 부정적으로 평가한 답변이 각각 39%, 43%였다. 긍정평가는 각각 30%, 28%였다.

분야별 긍정률을 올해 8월 다섯째 주와 비교하면 대북정책(58%→58%)은 변함없고 외교(55%→58%)와 복지(52%→56%)는 소폭 상승했다.

경제(26%→23%), 고용·노동(30%→26%), 공직자 인사(30%→28%)에서는 소폭 하락했다.

한국갤럽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 경제와 고용·노동 분야의 긍·부정률이 비슷해 여당 지지층 내에서도 경제 상황이나 관련 정책 추진에 대해 우려하는 시선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민주당 지지층에서 경제 정책에 대한 긍정·부정적 평가는 각각 39%, 40%였다. 고용·노동 정책에 대한 긍정평가와 부정평가는 나란히 39%였다.

정부가 경제 정책에서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중 어느 쪽에 더 중점을 둬야 하는지 물은 결과, '경제성장'을 꼽은 비율이 52%로 '소득분배'(38%)보다 높았다.

20대는 60%가 '소득분배'를, 50대 이상은 약 60%가 '경제성장'을 더 중시했다. 30·40대에서는 '경제성장'(50% 안팎)과 '소득분배'(45% 안팎) 중시 의견이 비슷하게 갈렸다.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53%로 지난주와 비교해 변화가 없었다. 부정평가는 1%포인트 오른 39%였고, 의견 유보는 8%였다.

대통령 직무에 대한 긍정평가를 연령별로 보면 40대가 64%로 가장 높았다. 20대(61%), 30대(60%), 50대(51%), 60대 이상(35%) 순이었다.

긍정 평가자들은 '북한과의 관계 개선'(28%), '외교 잘함'(12%), '서민 위한 노력·복지 확대'(8%), '대북·안보 정책'(7%) 등을 이유로 꼽았다.

부정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47%), '대북 관계·친북 성향'(16%), '일자리 문제·고용 부족', '최저임금 인상'(이상 4%) 등을 들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1%, 자유한국당 15%, 정의당 11%, 바른미래당 7%, 민주평화당 1% 순이었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25%로 나타났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민주당 지지도가 3%포인트 하락했고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정의당은 각각 1%포인트 상승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