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 ‘혼밥’, 비만 부른다…20代 평균 3㎏ 더 쪄” 이유보니

중앙일보

입력

저녁 ‘혼밥’이 비만을 부른다는 연구결과가 13일 발표됐다. [중앙포토, 연합뉴스]

저녁 ‘혼밥’이 비만을 부른다는 연구결과가 13일 발표됐다. [중앙포토, 연합뉴스]

혼자 밥을 먹는(혼밥) 사람은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사람에 비해 비만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혼밥’하는 사람의 체질량지수(BMI)가 유의미하게 높았는데, 특히 20∼30대 젊은 층일수록 이러한 경향이 강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예방의학교실 장성인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5)에 참여한 20세 이상 1만3303명을 대상으로 저녁 식사 동반자 유무와 BMI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혼밥’과 비만의 관계에 대해, 먹는 양이나 칼로리보다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와 영양소의 조합이 건강하지 못함을 보여준다고 설명한다.

BMI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비만도 판정 기준이다. 국내에서는 보통 BMI 25 이상을 ‘비만’으로 본다. 연구결과 저녁 식사를 혼자 하는 사람은 가족이나 지인과 함께 식사하는 사람보다 BMI가 평균 0.39가량 높았다. 수치를 풀어보면 남녀 관계없이 키 170㎝를 기준으로 했을 때 ‘혼밥족’의 체중이 1.2㎏ 정도 더 많이 나갔다.

특히 혼자 밥 먹는 20대의 BMI는 가족과 함께 먹는 동년배에 비교해 1.15까지 높았다. 30대도 마찬가지로 BMI가 0.78가량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의 BMI 증가 경향이 뚜렷했다.

장 교수는 “20대만 놓고 보면 혼자 밥을 먹는 경우의 BMI가 1.15 높아지는데, 이는 신장 170㎝를 기준으로 봤을 때 체중 차이가 3.1㎏ 정도로 적지 않은 수준”이라며 “혼자 밥을 먹는 사람은 대개 영양상 불균형한 식사를 할 가능성이 크다는 연관성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공중보건영양저널(Journal Public Health Nutrition)에 지난달 30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