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키우기] 5월 29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② 고구려 고분벽화가 현재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가 되는 까닭은?

③ 고분벽화가 1500년을 넘긴 오늘날까지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는?

④ 고구려 고분벽화가 있는 지역과 고분의 주인공, 벽화에 나타난 생활 모습 등을 표로 정리하세요. 중국 지역에 고분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신문에 난 고구려 고분벽화 사진을 모아 화보집을 만들어도 좋아요.

⑤ 고구려.백제.신라의 고분 양식과 벽화의 특징을 비교하세요.

⑥ 고구려 고분벽화의 대표 격인 안악3호분은 우물.부엌.푸줏간.마구간 등 고구려인의 살림살이를 통째로 보여줍니다. 현장에 파견된 기자로서 내부 모습을 보도해 보세요.

⑦ 호남리 사신총은 강서대묘처럼 벽화의 주제가 사신도입니다. 고분벽화 발생 초기엔 인물도가 주류였는데, 나중에 풍속화로 발전했다가 말기에 사신도로 바뀐 이유를 설명하세요.

⑧ 우리 학교 담장에 고구려인들처럼 1500년 뒤쯤 후세에 남길 벽화를 그리려고 합니다. 그릴 내용과 그 이유는?

⑨ 중국이 고구려를 자기네 역사로 편입시키기 위해 동북공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응책을 제시해 보세요.

⑩ 우리 정부나 학계가 북한을 지원해 고구려 고분벽화를 복원.보존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1200자로 논술하세요.

※참고하세요=2006년 5월 8~15일 세 차례 연재된 '고구려는 살아 있다'시리즈, 5월 15일자 19면(고구려 유물 확실…중국은 역사 왜곡 말라),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이야기'(전호태 지음. 풀빛 펴냄) 등.

ADVERTISEMENT
ADVERTISEMENT